정치

외교부 '日 오염수 대응' 전방위 외교전...성과는?

2021.04.28 오후 08:16
외교부, ’日 오염수 방류’ 대응 국제 공조에 총력
UN 아태 경제사회위원회에서 오염수 문제 지적
UN 위원회에서 ’오염수’ 거론은 우리나라뿐
[앵커]
일본의 원전 오염수 방류 결정 이후 외교부는 국제 공조를 만들어 내기 위해 전방위로 나서고 있습니다.

결코 여론이 불리하지 않다는 판단 아래 총력을 기울인다는 입장이지만, 상황은 녹록지 않습니다.

김도원 기자입니다.

[기자]
최근 외교부의 거의 모든 일정에서 빠지지 않는 의제는 일본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문제입니다.

최종문 2차관은 세계 60여 개국이 참석하는 UN 아시아·태평양 경제사회위원회, ESCAP 총회에서 오염수 문제를 지적했습니다.

여기에 1차관의 중남미 순방, 정의용 장관과 각국 장관과의 통화, 한중 국장급 대화 등 가능한 모든 자리에서 오염수 문제가 의제로 거론됐습니다.

[정의용 / 외교부 장관(지난 21일) : 저는 일본의 오염수 방류에 관해서는 국제적 여론이 절대 우리에게 불리하지 않다는 판단을 하고 있고….]

하지만 실효성 있는 국제 공조가 이뤄질지는 미지수입니다.

UN ESCAP 총회에서 오염수 문제를 언급한 나라는 우리나라뿐이었습니다.

여기에 일본은 최근 동남아, 중·남미, 태평양 도서국 등에 저온 백신 수송체계 등을 무상 지원한다고 발표했습니다.

꼭 오염수 문제와 연관된 건 아니지만, 이들 나라에서 일본의 영향력은 커질 수밖에 없습니다.

오염수 문제 공론화가 한일관계를 더욱 악화시킬 가능성도 부담입니다.

일본 정계 일각에서는 한국이 오염수 문제를 정치 쟁점으로 만들어 국제사회에서 일본 때리기에 나섰다고 불쾌감을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우리 정부의 추가 정보 제공 요청에도 일본은 아직 응답이 없습니다.

효과적인 대응을 위해서는 IAEA 검증단 참여와 함께, 일본 국내에서도 여전히 오염수 방류 반대 여론이 많은 점을 부각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YTN 김도원입니다.
HOT 연예 스포츠
지금 이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