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라리아 정복 첫발…WHO, 모스퀴릭스 백신 승인 아프리카 어린이들에 ‘희망’

2021.10.07 21:30 입력 이종섭 기자

세계보건기구(WHO)가 최초로 말라리아 백신을 승인했다. 외신들은 한 해 40만명 이상의 목숨을 앗아가는 말라리아 정복을 위한 역사적 첫발을 뗀 것이라고 평가했다.

WHO는 6일(현지시간) 사하라 사막 이남 아프리카 등 말라리아 전염도가 높은 지역에 사는 아동에게 모스퀴릭스(RTS,S/AS01) 백신을 널리 사용할 것을 권고한다고 밝혔다. 모스퀴릭스는 다국적 제약사 글락소스미스클라인(GSK) 연구진이 1987년 세계 최초로 개발한 말라리아 백신이다.

이날 WHO 권고는 2019년부터 가나, 케냐, 말라위 등 3개국에서 어린이 80만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대규모 시범사업의 결과를 토대로 이뤄졌다. WHO는 이 백신이 중증 말라리아와 말라리아로 인한 입원을 두드러지게 줄여준다고 설명했다. 지난 8월 영국 런던위생·열대의학학교 연구진이 발표한 연구 결과에 따르면, 백신과 말라리아 예방약을 동시에 사용했을 때 입원이나 사망률이 70% 감소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테워드로스 아드하놈 거브러여수스 WHO 사무총장은 “말라리아 연구자로 커리어를 시작했던 나는 이 오래되고 악랄한 질병에 효과적인 백신을 가질 날을 고대해왔다”며 “오늘은 역사적인 순간”이라고 말했다. 이어 “말라리아 방역을 위한 기존의 도구들과 함께 이 백신을 사용하면 매년 수만명의 어린 생명을 구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말라리아는 세계적으로 한 해 40만명이 넘는 목숨을 앗아가는 질병이다. 2019년에만 2억2900만건의 감염 사례가 있었고, 40만9000명이 목숨을 잃은 것으로 알려졌다. 감염과 사망자의 94%가 아프리카에서 발생했고 나이지리아와 민주콩고, 탄자니아, 부르키나파소, 모잠비크, 니제르 등 6개 나라의 말라리아 사망자가 전체의 절반을 차지했다. WHO는 말라리아가 사하라 사막 이남 아프리카에서 소아병과 사망의 주요 원인이 되고 있으며 아프리카에서 매년 26만명 이상의 5세 미만 어린이가 말라리아로 사망한다고 밝혔다.

원문기사 보기
상단으로 이동 경향신문 홈으로 이동

경향신문 뉴스 앱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