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그 많던 상처는 누가 다 먹었을까?] 타인을 향한 연민이 우리를 살린다

‘말없이’ 말하는 사람이 제대로 말하는 사람이다

  • 페이스북
  • 트위터
  • 복사

누구나 연민의 능력을 타고난다. 연민은 타인이 괴로워할 때 그것을 알아차리는 능력이며, 타인을 돕고 싶어 하는 감정이다. (2019. 08. 20)

위너스북_그 많던 상처는 누가 다 먹었을까_카드뉴스_01.jpg

 

위너스북_그 많던 상처는 누가 다 먹었을까_카드뉴스_02.jpg

 

위너스북_그 많던 상처는 누가 다 먹었을까_카드뉴스_03.jpg

 

위너스북_그 많던 상처는 누가 다 먹었을까_카드뉴스_04.jpg

 

위너스북_그 많던 상처는 누가 다 먹었을까_카드뉴스_05.jpg

 

위너스북_그 많던 상처는 누가 다 먹었을까_카드뉴스_06.jpg

 

위너스북_그 많던 상처는 누가 다 먹었을까_카드뉴스_07.jpg

 

위너스북_그 많던 상처는 누가 다 먹었을까_카드뉴스_08.jpg

 

위너스북_그 많던 상처는 누가 다 먹었을까_카드뉴스_09.jpg

 

위너스북_그 많던 상처는 누가 다 먹었을까_카드뉴스_10.jpg

 

위너스북_그 많던 상처는 누가 다 먹었을까_카드뉴스_11.jpg

 

위너스북_그 많던 상처는 누가 다 먹었을까_카드뉴스_12.jpg

 

위너스북_그 많던 상처는 누가 다 먹었을까_카드뉴스_13.jpg

 

 

 

 

 

 

라켈 박사는 이러한 일상의 편견을 사람과의 관계에도 적용한다. ‘저 사람은 원래 그런 사람이야.’, ‘어제도 한심했으니 오늘도 한심할거야.’, ‘분명 게으른 사람일거야.’ 이런 식으로 사람들을 판단하다 보면 자연스럽게 진정한 소통에서 멀어지게 된다. 저자는 ‘잠시 멈추고, 지금 여기에서 살아가기’의 방법을 소개한다. 마음의 소음을 피하고 본질을 꿰뚫어 보는 방법인데 핵심은 마음 챙김 연습에 있다. 마음 챙긴 연습이란, 지금 이 순간 주관적인 판단 없이 의식적으로 한 가지에 집중하는 능력을 말한다. 여기서의 ‘한 가지’란 명상, 기도, 운동, 독서가 될 수도 있다. 타인과의 소통에 웬 운동인지 의아할 수도 있겠다. 그러나 라켈 박사는 일상의 소음에서 빠져나와 자기만의 고요 속으로 들어갈 줄 아는 사람이라면 타인과의 소통에서도 능력을 발휘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진정한 치유를 이해하고 수많은 관계 속에서 행복하고 싶다면 이 책을 읽어보자. 그리고 ‘나’를 챙길 수 있을 때 비로소 ‘남’을 챙길 수 있다고 말하는 라켈 박사의 친절한 마음의 행로를 따라가 보자.


 

 

그 많던 상처는 누가 다 먹었을까?데이비드 라켈 저/김은경 역 | 위너스북
우리가 매번 남을 돕는 데 실패하는 이유와, 다른 사람과의 유대감을 강화하면서 동시에 자신에게도 이로운 실용적인 방법이 쓰여 있다. 연민으로 모두의 건강을 증진할 수 있다는 것에 대해 깊이 있는 통찰을 제공한다.


 

배너_책읽아웃-띠배너.jpg

 

 




‘대한민국 No.1 문화웹진’ 예스24 채널예스

이 기사가 마음에 드셨다면 아래 SNS 버튼을 눌러 추천해주세요.

독자 리뷰

(0개)

  • 독자 의견 이벤트

채널예스 독자 리뷰 혜택 안내

닫기

부분 인원 혜택 (YES포인트)
댓글왕 1 30,000원
우수 댓글상 11 10,000원
노력상 12 5,000원
 등록
더보기

글ㆍ사진 | 출판사 제공

출판사에서 제공한 자료로 작성한 기사입니다. <채널예스>에만 보내주시는 자료를 토대로 합니다.

그 많던 상처는 누가 다 먹었을까?

<데이비드 라켈> 저/<김은경> 역13,500원(10% + 5%)

공감하는 것만으로도 건강해질 수 있다고? 누구나 연민의 능력을 타고난다. 연민은 타인이 괴로워할 때 그것을 알아차리는 능력이며, 타인을 돕고 싶어 하는 감정이다. 하지만 당신에게 묻고 싶다. 연민하는 마음이 들 때마다 타인에게 손을 내밀었는가? 타인의 고통을 들여다보고 진심을 다해 마음을 어루만져주었는가?..

  • 카트
  • 리스트
  • 바로구매

오늘의 책

늙어도 낡아지지 않는 삶을 위하여

인생 2막을 살아가는 허은순 작가의 에세이. 50대 후반, 세상에 다시 도전한 작가가 기록한 생각의 단편을 엮어 책에 담았다. 창의적인 시니어 생산자로서 나이 듦의 의미를 새로이 개척한 그녀. 노년에 대한 고정관념을 깨부순 삶의 이야기는 '나이는 그저 숫자'라는 메시지를 전한다.

AI 시대의 표준 인류

20만 베스트셀러 『포노 사피엔스』의 저자 최재붕 교수의 신작. 빠르게 발전하는 AI 기술에 맞춰 진화하는 인류의 미래를 그린다. 일상부터 산업 전반까지 AI는 세상을 어떻게 바꾸고 있을지. 'AI 사피엔스'로 살아갈 우리는 어떻게 준비할지. 한 권으로 만나는 '미래 준비 설명서'.

세상의 모든 노래를 네 목소리로만 듣고 싶어

기괴하지만 사랑스럽고, 어둡지만 찬란한 세계관을 선보이는 조예은의 신작. 사랑하는 이에게 배신당하면서 꿈을 잃은 주인공. 그녀에게 외삼촌의 유산인 ‘인어’가 나타난다. 그의 황홀한 목소리에 빠져 점차 몸과 마음을 바치게 되는데… 이 치명적인 사랑의 끝이 궁금하다면, 소설을 읽어볼 차례.

영화를 향한 고백의 연서

영화평론가이자 《씨네21》 편집장 송경원의 첫 책. 영화가 삶에 남기는 궤적을 통해 기억을 조명함으로써 영화의 한 장면이 된 우리의 삶을 꾹꾹 눌러썼다. 엔딩 크레디트가 올라가면 영화는 끝이 나지만 영화와의 대화는 비로소 시작되기에, 영화를 '쓴' 그의 글은 얼룩이 되어 우리에게 번져 온다.


문화지원프로젝트
PYCHYESWEB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