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 / Culture

[돈의 흐름으로 보는 세계사] 은화부터 비트코인까지

돈의 흐름으로 보는 세계사_카드뉴스_1.jpg

?

돈의 흐름으로 보는 세계사_카드뉴스_2.jpg

?

돈의 흐름으로 보는 세계사_카드뉴스_3.jpg

?

돈의 흐름으로 보는 세계사_카드뉴스_4.jpg

?

돈의 흐름으로 보는 세계사_카드뉴스_5.jpg

?

돈의 흐름으로 보는 세계사_카드뉴스_6.jpg

?

돈의 흐름으로 보는 세계사_카드뉴스_7.jpg

?

돈의 흐름으로 보는 세계사_카드뉴스_8.jpg

?

돈의 흐름으로 보는 세계사_카드뉴스_9.jpg

?

돈의 흐름으로 보는 세계사_카드뉴스_10.jpg

?

?

?

?

?

?

닉슨 쇼크(1971) 이후 현재에 이르는 반세기 동안은 경제의 격동기였다. 미국의 월가는 지금까지 ‘금’에 묶여 있던 달러를 남발하는 동시에 ‘증권 혁명’을 일으켜, 거품 경제를 부추겼다. 이를 통해 사람들은 통화를 교환의 수단이 아닌, 투자의 수단으로서 더욱 중요하게 여기게 되었다. 한편 인터넷이 1990년대 이후 금융 거래의 중요한 매체로 떠오르면서, 전자화폐가 세계적 규모로 퍼졌다. 이 같은 상황 속에서 2008년, 블록체인(Block Chain) 기술을 응용한 비트코인(가상통화, 암호화폐)에 이목이 쏠렸다.

?

일견에서는 인터넷과 스마트폰의 일상화, 화폐의 재료가 종이에서 전파로 전환될 가능성이 높아진 점, 리먼 쇼크로 증권 버블이 꺼져, 금융 상품이나 기존 화폐에 대한 신뢰가 줄어든 점을 들어 중앙은행의 통제에서 벗어나 개인이나 기업이 자유롭게 세계 통화를 만들 수 있고, 비트코인이 그러한 ‘민주적 화폐’가 될 수 있다고 주장한다. 하지만 특정 개인에게 ‘통화’를 만드는 권리를 부여하는 게 옳은지(공공성), 그 가치는 무엇으로 보증하는지(안정성)에 대한 의문도 꾸준히 제기되고 있다.

?

사실 역사를 되돌아보면 부의 향방은 ‘돈의 형태’가 아니라 ‘돈을 둘러싼 시스템’에 달려 있었다. 미래에는 더 획기적이고 다양한 시스템이 개발될 수 있기에, 통화의 현재 상황과 역사를 바탕으로 숨 가쁘게 변화하는 국제 정세를 이해하고 자신의 입지를 잃지 않으며 미래를 예측해 나간다면, 돈의 흐름이 어디에 가 닿을 것인지도 알게 될 것이다.


?

78494996?

돈의 흐름으로 보는 세계사미야자키 마사카츠 저/송은애 역 | 한국경제신문사(한경비피)
파운드와 달러가 세계 ‘기축통화’가 된 이유, ‘비트코인’이 통화가 될 수 없는 이유 등 금융 세계의 특이점도 화폐의 연대기를 알아야 ‘진상(眞相)’을 제대로 알 수 있다.

da37592b497061ee62b1b603369a0e4a.jpg

?

?

배너_책읽아웃-띠배너.jpg

?

?



추천기사
  • 채널예스 기사 제목 [존재감] 돋보이는 사람은 무엇이 다를까?
  • 채널예스 기사 제목 [회계 무작정 따라하기] 회계, 기초부터 실전까지 한 권으로 끝낸다
  • 채널예스 기사 제목 [마케팅 무작정 따라하기] 지금 당장 실무에 써먹는 마케팅 입문서


‘대한민국 No.1 문화웹진’ 예스24 채널예스

0 Comments

반짝반짝 보석스티커(1000원X20개)
칠성상회
월드 중장비-지게차 자동차 미니카 건설차
칠성상회
아이디얼 양장노트 25절 라인노트 줄공책
칠성상회
바르네 풀테이프 BGT-0180(8.4mmX12m) 본품 랜덤
칠성상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