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 Ad

[고용노동부]공공부문의 장애인 표준사업장 생산품 구매 지속 증가

btn_textview.gif

- 2021년에 장애인 표준사업장 생산품 5,927억 원 구매 -

고용노동부(장관 안경덕)는 국가, 지방자치단체, 공공기관 등 총 861개소의 2021년도 장애인 표준사업장 생산품 구매실적을 발표했다.

장애인 표준사업장 판로 확대를 통한 안정적 장애인 일자리 제공을 위해 공공부문은 총 물품·용역 구매액의 0.6% 이상을 장애인 표준사업장 생산품으로 구매해야 하며 2018년부터 각 기관의 전년도 구매실적과 해당연도 구매계획을 누리집에 공고하고 있다(장애인고용촉진 및 직업재활법 제22조의3).

2021년도에는 장애인 표준사업장 생산품 구매에 대한 인식 제고 등의 영향으로 총 861개 공공기관의 장애인 표준사업장 생산품 구매액은 5,927억 원, 구매 비율은 0.92%로 지속적으로 상승하고 있다(전년 대비 409억 원, 0.01%p 상승).

표준사업장 생산품 구매목표 비율(0.6%)을 준수한 기관 역시 588개소(전체 중 68%)로 전년 대비 28개소 증가했다.
구매목표 비율 준수율은 준정부기관이 94.7%로 가장 높고, 특별법인은 16.7%으로 가장 저조했다.
기관 유형별 구매비율은 지방의료원(1.55%), 지방자치단체(1.52%), 준정부기관(1.46%), 공기업(1.14%), 교육청(0.79%) 순으로 높았고 구매액은 공기업(1,879억 원), 지방자치단체(1,487억 원), 준정부기관(840억 원), 국가기관(633억 원), 교육청(551억 원) 순으로 높았다.

올해 구매계획과 관련해서는 대부분 기관이 법적 구매목표를 달성하겠다고 했으나, 전체 861개 기관 중 13개 기관은 올해 구매계획을 총 물품·용역 구매액의 0.6%에 미달하게 제출했다.
해당 기관들에 대해서는 법정 의무 준수 독려와 함께 표준사업장 생산품 목록, 구매 방법·절차 등을 집중적으로 안내해 의무를 이행토록 지도·지원할 계획이다.

황보국 통합고용정책국장은 “공공기관이 표준사업장 생산품 구매목표를 준수하는 것은 장애인 다수 고용 사업장인 장애인 표준사업장의 경영안정을 위해 꼭 필요한 일”이라 말하며, “공공기관이 구매계획을 이행하도록 적극 독려하고, 나아가 민간기업들도 장애인 표준사업장 생산품 구매에 동참할 수 있도록 다양한 홍보와 지원을 해 나가겠다.”라고 밝혔다.

861개 공공기관별 ‘21년 구매실적과 ‘22년 구매계획은 고용노동부 누리집에서 확인할 수 있다.


문  의:  장애인고용과  이명진 (044-202-7485)
[자료제공 :icon_logo.gif(www.korea.kr)]

0 Comments

알파 베이직 젯소 500ml
칠성상회
3M 전자계산기 SJC-830P
바이플러스
토이웍스 KC정품 유유자적오리 애착인형 100cm
칠성상회
방우 시가 소켓 12V - 24V 겸용 카라반 캠핑카 DIY
칠성상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