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 Ad

[국가유산청]경주 쪽샘유적에서 ‘둘레돌 없는’ 돌무지덧널무덤 발견

btn_textview.gif

  국가유산청 국립문화유산연구원 국립경주문화유산연구소(소장 황인호)는 경주 쪽샘지구 유적에서 지금까지 알려진 적이 없는 새로운 돌무지덧널무덤 형식이 확인됨에 따라 오는 6월 27일 오전 10시에 발굴조사 성과와 출토유물을 공개하는 현장설명회를 개최한다.
* 돌무지덧널무덤(積石木槨墓): 무덤 중앙에 덧널을 놓고 주변에 돌무지를 쌓은 뒤 흙을 덮은 신라의 독특한 무덤 구조
* 발굴조사 현장 : 경북 경주시 황남동 19-1 쪽샘유적 발굴조사 현장

경주 대릉원 일원의 쪽샘지구 유적은 1,500여 년 전, 약 200년에 걸쳐 조성된 신라 왕족과 귀족의 무덤군으로, 축구장 16개 면적과 맞먹는 대규모 유적이다. 국립경주문화유산연구소는 2007년부터 무덤의 위치와 크기, 구조 등을 파악하기 위해 발굴조사를 진행하고 있으며, 현재까지 1,300기가 넘는 무덤을 새롭게 확인했다.

이번에 공개되는 경주 쪽샘지구 유적 내에 있는 돌무지덧널무덤 2기는 경주 황남대총과 같이 남쪽과 북쪽에 나란히 무덤을 조성하고 봉분(지름 약 13m)을 연접하여 축조하였다. 남쪽에 먼저 만든 무덤(J171호)은 단곽식(單槨式), 나중에 만든 북쪽의 무덤(J172호)은 주·부곽식(主·副槨式)으로 구조가 서로 다른데, 덧널, 돌무지, 봉토, 둘레돌로 구성된 기존의 돌무지덧널무덤과 달리 두 무덤 다 둘레돌이 없는 독특한 구조를 지니고 있다. 이는 국내에서 처음으로 확인된 유형의 무덤으로, 신라 돌무지덧널무덤의 다양성과 신라의 장례 문화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단서가 될 것이다.
* 단곽식(單槨式): 무덤 주인공과 껴묻거리를 하나의 덧널 안에 넣는 방식
* 주·부곽식(主·副槨式): 단곽식과 달리 무덤 주인공을 넣은 으뜸덧널(주곽) 외에 껴묻거리만 넣는 딸린덧널(부곽)을 함께 만드는 방식
* 무덤 이름인 J171호·J172호는 쪽샘유적 내 14개 지구 중 하나인 J지구에서 발견된 무덤에 차례대로 번호를 부여한 것임.
* 둘레돌: 호석(護石)이라고도 하며, 가장자리에 돌을 쌓아 무덤을 표시하거나 봉분을 보호하는 기능을 가진 시설로, 신라 돌무지덧널무덤에서 중요한 시설로 여겨지고 있음.

또한, 대릉원 일원 고분군에서 처음 확인되는 유물들도 다수 출토되었다. J172호 부곽에서는 꽃잎 모양을 반복적으로 새긴 뚜껑과 다리에 세 줄로 구멍을 뚫은(삼단투창) 굽다리접시가 출토되었는데, 신라의 왕경 외곽 또는 주변 지역에서 만든 토기로 추정된다.
말안장, 발걸이, 띠드리개, 띠꾸미개 등으로 구성된 온전한 말갖춤 1식을 큰 항아리 위에 놓은 모습도 확인되었다. 특히, 볼록렌즈형의 금동제 장식과 철에 은을 입힌 테두리가 결합한 띠꾸미개는 출토된 사례가 거의 없는 희귀한 자료인데, 고대 신분을 과시하는 물건 중 하나인 말갖춤 연구에 중요한 자료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 투창(透窓) : 토기를 가마에 구울 때 열로 인해 깨지지 않게 하기 위해서 토기 다리에 구멍을 내어놓은 것
* 띠꾸미개(雲珠): 말에 사용된 가죽끈을 서로 묶어 연결하여 말을 장식하는 장식구
* 띠드리개(杏葉): 말띠에 달아 늘어뜨리는 장식
* 말갖춤(馬具): 말을 부리기 위해서 말에게 장착했던 각종 도구를 통칭하는 말

이번 현장설명회는 별도 신청 없이 관심 있는 국민 누구나 참여할 수 있으며, 더 자세한 사항은 국립경주문화유산연구소(☎054-622-1715)로 문의하면 된다.

국가유산청 국립문화유산연구원 국립경주문화유산연구소는 앞으로도 정부혁신과 적극행정의 하나로 체계적인 문화유산 발굴조사·연구를 실시하고, 그 성과를 국민과 적극적으로 공유해 나갈 예정이다.



J171호(아래)·J172호(위) 조사 모습

< J171호(아래)·J172호(위) 조사 모습 >


[자료제공 :icon_logo.gif(www.korea.kr)]

0 Comments

알파 베이직 젯소 500ml
칠성상회
3M 전자계산기 SJC-830P
바이플러스
토이웍스 KC정품 유유자적오리 애착인형 100cm
칠성상회
방우 시가 소켓 12V - 24V 겸용 카라반 캠핑카 DIY
칠성상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