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 Ad

[원자력안전위원회]원전 해수여과망 설비에 기술기준 불만족 앵커볼트 사용 확인

btn_textview.gif

원전 해수여과망 설비에 기술기준 불만족 앵커볼트 사용 확인

원전의 안전한 운영에는 영향이 없는 것으로 평가 -


 원자력안전위원회(위원장 유국희, 이하 원안위)는 원전에 유입되는 해수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회전여과망 설비에서 법령상 요구하는 기술기준*(미국 ACI)이 아닌 유럽 시험기준(ETAG )으로 인증된 부착식 앵커볼트**로 시공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원안위는 현재 설치되어 있는 앵커볼트의 안전성을 확인하였고, 기술기준 부적합사항을 해소하도록 한수원에 요구하였다.

* 미국 콘크리트학회(ACI) ACI 349-01(안전관련 콘크리트 구조물) 기준의 세부요건은 부착식에는 적용하지 않고 있으며, 부착식과 같은 앵커볼트는 규제기관 승인을 받아 사용하도록 규정

** 부착식 앵커볼트 : 콘크리트를 천공한 자리에 에폭시와 같은 경화용액을 먼저 붓고, 앵커볼트를 심어서 굳히는 방식의 후 설치 앵커볼트

 

< 회전여과망 설비 >

 

 

 

external_image

(기능)해수에 포함된 이물질 제거를 위해 원전별 2개씩 설치(안전등급 3)

 전단의 바스크린에서 이물질 1차 제거

(운전)이물질 축적(태풍 등) 시 자동기동

 평시 1 2~3(1회당 약 20) 작동성 점검

(비상시) 스탑게이트로 해수유입을 차단한 후, 수동으로 이물질 제거 가능

 부착식 앵커볼트는 신월성 1호기 정기검사 과정에서 처음 확인(‘22.12)하였으며, 전 원전에 대한 확대조사 결과 가동원전 13* 및 건설원전 3*의 회전여과망 설비에 사용된 것으로 확인하였다. * 붙임2 참고

ㅇ 이는, 한울 3·4호기 건설 당시 회전여과망의 성능을 개선하는 과정에서 기술기준에 대한 검토가 미흡한 상태로 부착식 앵커볼트가 처음 시공(1996)되었고, 이후 최근 건설원전까지 한울 3·4호기 선례를 답습하여 시공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현재 가동 중인 원전에 대한 안전성 확인결과,

ㅇ 계획예방정비(OH, 이하 OH) 중인 원전 3(신월성1, 한빛6, 한울5)에 대해서는 현장시험을 통해 앵커볼트가 설비를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음을 직접 확인하였고, 미국기준(ACI 349)이 요구하는 성능을 구현*할 수 있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 미국기준에서 요구하는 일부 시험(지진시험 등)이 미수행되었으나, 추가적인 안전성 평가 등을 통해 성능유지가 가능하다는 공학적 타당성 확인(한국콘크리트학회 3자검증)

 아울러, 설비고장 가능성과 안전기능 유지여부 등을 평가한 결과, 부착식 앵커볼트가 사용된 전체 가동원전(13)의 운전 안전성(1주기)에는 영향이 없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원안위는 OH 기간 중 안전성을 확인한 가동원전은 1주기 운전 후 차기 OH 기간까지, 건설원전은 운영허가 전까지 한수원이 기술기준을 만족시키도록 조치해 나갈 예정이다.

 안전성이 확인된 3(신월성1, 한빛6, 한울5)는 임계전회의 등을 거쳐 재가동 허용 예정

  또한, 유사사례에 대한 추가조사와 함께 한수원의 품질관리체계 전반에 대한 종합점검을 추진하고, 규제기관의 사용전검사 등 심·검사체계에 대해서도 개선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자료제공 :icon_logo.gif(www.korea.kr)]

0 Comments

반짝반짝 보석스티커(1000원X20개)
칠성상회
월드 중장비-지게차 자동차 미니카 건설차
칠성상회
아이디얼 양장노트 25절 라인노트 줄공책
칠성상회
바르네 풀테이프 BGT-0180(8.4mmX12m) 본품 랜덤
칠성상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