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 Ad

[산업통상자원부](참고자료)「2023년 수출 플러스 전환」을 위한 「범정부 수출확대 전략…

btn_textview.gif

2023년 수출 플러스 전환을 위한 범정부 수출확대 전략발표

- 수출상황점검회의 등 부처별 수출목표 이행점검·협업체계 구축

- 스마트팜, 에듀테크, 콘텐츠, ICT서비스 등을 수출동력으로 육성

- 18개 수출유관 부처, 2023년 수출목표로 6,850억불 제시

- 투명·차량용·웨어러블 등 3대 융복합 디스플레이 기술개발 지원

- AI·전력·차량용 등 반도체 유망분야 R&D 31년까지 2.9조원 투자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이창양) 223()윤석열 대통령 주재로

4차 수출전략회의가 개최되었다고 밝혔다.

 

이날 회의에서는 올해를 제1차 수출전략회의 때부터 윤석열 대통령이 강조한 처의 산업부화를 본격적으로 이행하는 원년으로 삼고, 수출 위기 극복을 위해 모든 부처가 수출지원역량을 결집해 마련한 2023 수출여건 및 범정부 수출확대 전략을 확정하였다.

 

금번 수출확대 전략에는 부처별 23년도 수출목표 설정, 부처별 수목표 이행상황 점검 및 협업체계 구축, 23년 범정부 수출지원예산 1.5조원 투입·무역금융 362.5조원 공급 및 12수출동력 확충, 부처간 협업 프로젝트 추진, 원스톱 수출·수주지원단을 통한 수출기업 애로해소 등이 주요 내용으로 반영되었다.

 

1. 2023년도 수출목표 : 6,850억불

 

정부는 우리나라의 2023년 전체 수출목표를 6,850억불로 설정하였다.

 

ㅇ 세계적인 경기둔화 등으로 수출 여건이 어려운 상황임에도 불구하고, 무역수지 적자 장기화 및 수출 감소세가 우리경제에 부담을 가중시키고 있다는 엄중한 인식하에 금년 수출의 플러스 성장을 달성하겠다는 정부의 강력한 의지를 담아 수출 목표치를 설정하였다.

 

정부는 금년도 수출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 전부처의 산업부화, 영업사원기조 하에 모든 부처가 수출담당 부처라는 명확한 책임의식을 가지고 가용가능한 모든 수출지원역량을 결집해 나가기로 하였다.

 

특히, 교육부, 환경부, 국방부 등 비산업부처를 포함하여 관세청, 특허청, 조달청 등 지원 부처까지 18개 부처가 수출확대에 힘을 모으기로 하였다.

<부처별 수출·수주 목표>

영역

분 야

부처

’21

’22

’23년 목표(증감률)

주력산업

15대 제조업

산업부

5,036

5,325

5,330

+0.1%

수주전략

산업

원전

산업부

-

20*

’3010

방산

산업·국방·방사청

73*

173*

173*

-

해외건설·플랜트

국토·산업부

306*

310*

350*

12.9%

녹색산업

환경부

-

-

150*

-

수출유망

산업

농수산식품

 

 

 

 

 

 

농식품

농식품부

86

88

100

13.3%

수산식품

해수부

28

32

35

10.8%

스마트팜

농식품부

-

1

1.7

70.0%

디지털산업

 

 

 

 

 

 

ICT서비스

과기부

149**

155**

178**

15.3%

콘텐츠

문체부

125**

137**

150**

9.5%

에듀테크

교육·산업부

0.4**

0.5**

0.7**

25.7%

바이오헬스

 

 

 

 

 

 

의약품·의료기기

복지·산업부

163

164

175

7.1%

화장품

복지부

92

80

98

23.1%


* 원전, 방산, 해외건설·플랜트는 수주액 기준

** ICT서비스, 콘텐츠, 에듀테크는 서비스 수출액 기준

2. 부처별 수출목표 이행상황 점검 및 협업 체계 구축

 

정부는 수출 플러스 성장 목표를 차질 없이 달성하기 위해서 부처별로 수출목표를 설정하고 이행실적을 다층적이고 꼼꼼하게 점검·관리하는 협업체계를 구축하였다.

 

ㅇ 부처별로 수출투자책임관(1)을 지정하여 부처별 소관 품목·업종의 수출 목표 이행상황 집중관리 하도록 하였다.

 

ㅇ 아울러, 산업부 장관이 주재하는 범부처 수출상황점검회의를 통해 부처별 수출실적을 매월 점검하고, 이를 수출전략회의 등에 정기적으로 보고할 예정이다.

 

< 범부처 수출총력대응 체계 >

 

수출전략회의

(대통령)

수출상황점검회의

(산업부장관, 매월)

부처별 수출지원실적

수출지원기관협의회

수출경쟁력 강화 전략

 

수출실적 및 계획, 애로해소, 협업과제

 

수출지원사업, 현장행보 등

 

 

 

 

 

 

 

 

수출투자대책회의

(경제부총리, 격주)

수출투자책임관회의

(기재·산업부차관, 매월)

원스톱 수출·수주지원단

분야별 수출·투자 대응

 

수출·투자 동향, 이행상황 논의

 

애로 발굴 및 원스톱 지원



 

3. 23년 범정부 수출지원예산 1.5조원 지원 및 12수출동력 확충

 

정부는 수출지원사업에 23년도 예산 1.5조원*을 투입하고, 무역금융을 최대 362.5조원** 공급한다.

 

* 산업부 6,692억원, 중기부 2,597억원, 농식품부 1,472억원, 복지부 1,024억원 등

 

** 무보 260조원, 수은 82조원, 신보 14조원, 기보 3.3조원, 산은·기은 2조원, aT 0.5조원 등

 

아울러, 반도체, 이차전지, 전기차, 고부가가치 선박 등 주력산업 경쟁력 강화, 원전, 방위산업, 녹색산업 등 대규모 프로젝트 수주, 에듀테크, 스마트팜, 콘텐츠 등 12개 분야 수출동력을 확충해 나가기로 하였다.



[자료제공 :icon_logo.gif(www.korea.kr)]

0 Comments

반짝반짝 보석스티커(1000원X20개)
칠성상회
월드 중장비-지게차 자동차 미니카 건설차
칠성상회
아이디얼 양장노트 25절 라인노트 줄공책
칠성상회
바르네 풀테이프 BGT-0180(8.4mmX12m) 본품 랜덤
칠성상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