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 Ad

[문화재청]반구대 암각화 일대는 동물들의 안식처

btn_textview.gif

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소(소장 최종덕)는 국보 제285호인 '울주 대곡리 반구대 암각화' 일대를 대상으로 동물상을 조사한 결과, 495종의 동물이 서식하고 있음을 확인했다.?
?
? 이번 조사는 세계유산으로서 울주 반구대 암각화의 가치를 높이고자 기획한 것으로 국립문화재연구소는 국립중앙과학관(관장 직무대리 임승철)과 협업하여 각계 전문가들과 함께 '천연기념물·자연사자원 공동조사단'을 구성해 지난해 2월부터 올해 2월까지 총 9차례에 걸쳐 암각화 일대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총 495종의 다양한 동물이 살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
? 주요 동물상으로 ▲ 천연기념물 독수리(제243-1호), 황조롱이(제323-8호), 솔부엉이(제324-3호), 소쩍새(제324-6호), 원앙(제327호) 등 조류가 35과 67종, ▲ 천연기념물 수달(제330호), 노루 등 포유류가 8과 11종, ▲ 각시붕어, 버들치, 참갈겨니 등 담수어류가 9과 30종, ▲ 상아잎벌레, 팥중이 등 곤충이 93과 334종, ▲ 누룩뱀, 참개구리 등 양서파충류가 5과 9종, ▲ 꽃게거미, 한국흰눈썹깡충거미 등 거미류가 11과 34종, ▲ 노랑구슬노래기, 돌지네 등 다지류 8과 10종이 조사되었다.
?
? 참고로, 국립문화재연구소와 국립중앙과학관은 지난 2013년부터 '천연기념물·자연사자원 공동조사단'을 구성하여 독도, 유부도, 보길도, 동해 무릉계곡, 순천만 습지, 울산 대곡천 암각화군 등을 조사했으며 그 결과를 보고서로 제작해왔다.
?
? 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소는 이번 조사결과를 GBIF(세계생물다양성정보기구)를 통해 국제적으로 정보를 공유하고 7월 말 공동조사 보고서를 발간할 예정이다. 앞으로도 반구대 암각화 일대의 생물상과 역사·경관적 가치의 우수성을 국민에게 알리고, 나아가 자연생태계의 보존을 위하여 꾸준히 노력할 것이다.


image
<천연기념물 제330호 수달>


[자료제공 :icon_logo.gif(www.korea.kr)]

0 Comments

반짝반짝 보석스티커(1000원X20개)
칠성상회
월드 중장비-지게차 자동차 미니카 건설차
칠성상회
아이디얼 양장노트 25절 라인노트 줄공책
칠성상회
바르네 풀테이프 BGT-0180(8.4mmX12m) 본품 랜덤
칠성상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