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 Ad

[산업통상자원부]신재생에너지설비의 안전관리를 강화한다

btn_textview.gif

신재생에너지설비의 안전관리를 강화한다
 

공공·민간 전문가 참여 TF에서신재생E 안전관리 강화방안발표 -
 

신재생E 원별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안전관리 방안 마련 -
 

산업통상자원부(장관 문승욱, 이하 산업부)6.1() 유법민 자원산업정책관 주재로 에너지안전 미래전략 TF 1차 전체회의를 개최하고, 신재생에너지 안전관리 개선방안 발표하였다.
 

에너지안전 미래전략 TF는 신재생E, 수소, 기후변화, 에너지 안전관리방안 혁신 등 에너지안전에 관한 주요 미래 추진과제들을 공공·민간 전문가들과 함께 논의하기 위한 회의로, 전체회의는 이번에 최초로 개최되었다.
 

 

< 에너지안전 미래전략 TF1차 전체회의 개요 >
 

 

 

일시/장소 : ‘21.6.1.() 15:00~17:00 / 서울역 공항철도 AREX-6 회의실
 

참석자 : (정부) 유법민 자원산업정책관(주재), 홍순파 에너지안전과장
(공공/민간) 가스안전공사, 전기안전공사, 산업기술평가관리원, 에너지경제연구원, 노대석교수(한국기술교육대), 김성태 책임연구원(두산중), 안영환 교수(숙명대), 채충근대표(미래기준연구소) 등 총 15
 

신재생E 안전관리 개선방안은, 태양광, 풍력 등 신재생E 설비가 급속히 보급되고, 특히 ESS, 연료전지 등 신기술 설비가 확산됨에 따라 설비 특성을 고려하여 안전관리를 강화하고 재정비하려는 것으로서,
 

신재생E 전문가·업계 간담회 등 의견수렴 및 민관합동 신재생E 안전관리 실태조사*(`21.2~`21.3)를 통해 설치·운영 실태와 현행 안전관리제도의 문제점에 대한 면밀한 분석을 통해 마련하였으며,
 

* 40개소 : 풍력(8), 태양광(8), 연료전지(7), ESS(7), 송배전(7), 소수력(3), 해양에너지(1)
 

다음 3가지 측면에서 새로운 개선방안을 제시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신재생E의 특성에 맞는 원별 안전대책을 수립, 시행
 

안전관리의 체계적 수행을 위하여 전문인력 양성 및 전담기구 마련
 

신기술을 활용한 안전관리 활성화 안전규제의 합리적인 개선

[자료제공 :icon_logo.gif(www.korea.kr)]

0 Comments

반짝반짝 보석스티커(1000원X20개)
칠성상회
월드 중장비-지게차 자동차 미니카 건설차
칠성상회
아이디얼 양장노트 25절 라인노트 줄공책
칠성상회
바르네 풀테이프 BGT-0180(8.4mmX12m) 본품 랜덤
칠성상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