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 Ad

[산업통상자원부]산업계, 탄소중립 전환 시설투자 본격적으로 나서

btn_textview.gif

산업계, 탄소중립 전환 시설투자 본격적으로 나서

- 철강, 석유화학, 시멘트, 정유, 자원순환, 탄소 포집·활용·저장(CCUS) 등 분야
51개업체 총 사업비 16,668억원 규모의 탄소중립 전환 선도프로젝트 발굴 -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이창양)2022년도 탄소중립 전환 선도프로젝트 융자지원 사업(이하, “융자사업”) 615() 신청·접수결과,

탄소중립 전환 선도프로젝트 융자지원 사업 온실가스 배출을 획기적으로 줄이고 미래 기술적·경제적 파급효과가 크면서 기업이 계획하고 있는 장기·대규모 시설 및 R&D 투자 프로젝트에 장기·저리의 투자자금 융자를 지원하는 올해 신규사업


 

51개 업체가 3년간(’22’24) 총사업비 16,668억원 규모의 탄소중립 전환 선도프로젝트를 추진하고자 4,472억원의 투자자금 융자 지원을 신청하였다고 밝힘

 

특히, 융자지원 신청액 대부분은 시설투자로서 전체신청액의 87% (3,874억원)를 차지함. 나머지 13%(598억원)R&D 투자 신청액임

 

우리 산업계2030 산업부문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NDC) 달성을 위해 시설투자를 본격적으로 추진할 것이라는 의미로 풀이됨

 

한편, 이번 융자사업 신청·접수결과(융자지원 신청액 : 4,472억원)기업 유형, 신청금액, 프로젝트 유형 등으로 분석해보면,

 

중소·중견기업 중심으로 온실가스 감축효과가 큰 분야를 위주로 탄소중립을 위한 투자가 이루어짐을 확인할 수 있음

 

ㅇ 우선, 기업 유형별중소·중견기업이 96.1%(49개업체), 신청금액중소·중견기업이 83.8%(3,746억원)대부분을 차지

 

< ’22년 탄소중립 전환 선도프로젝트 융자지원 신청·접수결과(, 억원) >

구 분

기업수

‘22

‘23

‘24

합 계

총사업비

대기업

2(3.9%)

504(16.4%)

221(17.9%)

-

726(16.2%)

5,252

중견기업

3(5.9%)

228 (7.4%)

59 (4.8%)

-

287 (6.4%)

864

중소기업

46(90.2%)

2,344(76.2%)

954(77.2%)

163

3,459(77.3%)

10,552

합 계

51

3,076

1,234

163

4,472

16,668


 

또한, 프로젝트 유형별로도 온실가스 감축효과가 큰 자원순환, 철강 등 온실가스 다배출업종 및 CCUS 분야64.7%(33개업체) 차지

 

< ‘22년 탄소중립 전환 선도프로젝트 유형별 신청·접수결과() >

유 형

기업수

유 형

기업수

자원순환

10

유리

2

CCUS

4

바이오연료

2

정유, 석유화학

4

반도체, 디스플레이

2

시멘트, 철강

4

유통, 물류

1

수소생산, 차세대 태양광

3

친환경자동차

1

이차전지, 전기전자

3

비철금속

1

섬유, 제지

3

Zero에너지건물

1

에너지효율향상, 산업공통설비

3

기타

7

합 계

51


 

따라서, 동 융자사업이 탄소중립 전환 선도 투자기업의 위험 부담을 최소화하고, 성공적인 녹색전환과 탄소중립 관련 신산업의 성장 기회 확대를 위한 마중물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됨

 

현재, 접수된 51개 업체에 대해 적합성 검토를 진행 중이며, 적합성 검토 완료 후 기술성 평가를 진행할 예정임

 

평가결과를 융자사업 심의위원회에 상정하여 우수한 선도프로젝트를 선정하고, 프로젝트별 융자지원액을 7월말까지 확정할 계획임



[자료제공 :icon_logo.gif(www.korea.kr)]

0 Comments

방우 시가 소켓 12V - 24V 겸용 카라반 캠핑카 DIY
칠성상회
라인플러스 화인 세필 화이트 보드마카 (12개입) 1다스 (검정색)
칠성상회
펜더 판다 예쁜 캐릭터 팬더 볼펜
칠성상회
영진 10000 비닐노트 10호 대16절 / 1권 낱권/200매
칠성상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