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 Ad

[산업통상자원부]한-걸프협력회의(GCC) 자유무역협정(FTA) 제5차 공식협상 개최

btn_textview.gif

-걸프협력회의(GCC) 자유무역협정(FTA) 5차 공식협상 개최

- 66~9, 사우디아라비아(리야드)에서 개최 -


 

한국걸프협력회의(GCC, Gulf Cooperation Council) 6개국자유무역협정(FTA) 5차 협상6.6()~9()간 사우디아라비아(리야드)에서 개최된다.

 

* 걸프협력회의: 사우디아라비아, 아랍에미리트, 쿠웨이트, 카타르, 오만, 바레인 6개국의 지역협력기구

 

 

-GCC FTA 5차 공식협상개요

 

 

 

(일시·장소) ‘22.6.6()~9(), 사우디아라비아(리야드) (화상 병행)

 

(참석자) [우리측] 산업통상자원부 이경식 FTA교섭관(수석대표), 산업부, 기재부, 농림부, 금융위, 해수부, 관세청 등 관계부처 정부 대표단

[GCC] GCC 사무국 압둘라흐만 알 하르비(Abdulrahman bin Ahmed Al Harbi) 협상총괄(수석대표), GCC 사무국 및 6개국 관계부처 대표단


 

양측은 지난 1FTA 협상 공식 재개를 합의한 후 13년 만에 4차 협상을 지난 3월 서울에서 개최하여 상호 관심분야를 논의하였으며,

 

이번 5차 협상에서는 상품, 서비스, 투자, 전자상거래, 원산지, 통관·무역원활화, 정부조달, 위생·식물위생조치(SPS), 무역기술장벽(TBT), 협력·중소기업 등 분야에서 협상이 진행될 예정이다.

 

GCC 국가는 우리와 에너지·자원, 건설 등 분야를 중심으로 협력해 온 중동지역의 핵심 교역 파트너이며, 성장잠재력이 크고 각 국가의 산업다각화 노력과 연계하여 다양한 분야에서 우리와의 협력 가능이 기대되는 지역이다.

 

* 인구(5,885만명), 높은 소득(평균 GDP 2.4만불), 젊은 인구(14세 이하 인구비중 26.1%)

이번 협상에서는 상품 등 우리 관심분야 시장 개방 논의와 함께 우리 기업의 건설·플랜트 시장 진출을 확대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 한편, 중소기업, 정보통신기술(ICT), 에너지 등 분야에서 다각적 협력을 강화하기 위한 협력 프레임을 구축하는 방안도 중점 논의될 예정이다.

 

* 개최분과 : 상품, 서비스, 투자, 전자상거래, 원산지, 통관·무역원활화, 정부조달, 위생·식물위생조치(SPS), 무역기술장벽(TBT), 협력·중소기업, 총칙 등

 

산업통상자원부는 그간 업계, 전문가, 공공기관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의 의견 수렴을 진행한 바 있으며, 이를 협상 전략에 반영해 왔다.

 

* -GCC FTA 업계·전문가 간담회(’21.11.9), 전문가 간담회(’22.4.14), 공공기관 간담회(’22.5.19)

 

또한 지난 5일에 현지에서 진출 공공기관 및 기업을 만나 업계 관심분야 등 의견을 청취하고 협상 전략을 논의하였다.

 

산업통상자원부 이경식 FTA교섭관금번 5차 협상은 지난 34 협상시 확인한 양측 입장을 바탕으로, 상품, 서비스, 협력 등 제반 분야에서 긴밀히 협상하여 한국과 GCC간 경제협력의 틀을 마련해 나갈 것이며,

 

협상 과정에서 이해관계자와 충분히 소통하며 관련 업계의 의견도 적극적으로 반영해 나갈 것이라고 언급하였다.



[자료제공 :icon_logo.gif(www.korea.kr)]

0 Comments

가정용 코팅기 KOLAMI-324 4롤러 A3 무소음 무기포
칠성상회
물고기 애벌레 원목 낚시놀이 장난감
칠성상회
반짝반짝 보석스티커(1000원X20개)
칠성상회
월드 중장비-지게차 자동차 미니카 건설차
칠성상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