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 Ad

[농촌진흥청]벼 수량 떨어뜨리는 먹노린재, 제때 방제하세요

btn_textview.gif

□ 먹노린재는 벼 줄기와 이삭을 빨아먹어 벼농사에 피해를 주는 해충이다. 논 근처 산기슭에서 어른벌레(성충)로 겨울을 난 뒤 6월 상·중순부터 모내기한 논으로 이동해 10월까지 벼에 상처를 입힌다.

 ○ 농촌진흥청(청장 조재호)은 모내기를 마친 논에서는 먹노린재 발생을 미리 살피고, 주의를 기울여 방제해 달라고 당부했다. 


□ 먹노린재가 자주 발생하거나 산기슭과 가까운 논둑 주변의 크게 자란 풀이나 잡초와 같은 중간서식처를 제거해 먹노린재 침입을 우선 차단해야 한다. 

 ○ 논둑 가까이에 놓아둔 메워심기용(보식용) 모에도 서식할 수 있으므로 잘 살피고 먹노린재가 발견되면 약제를 뿌린다. 먹노린재 몸에 약액이 묻지 않으면 방제 효과가 매우 떨어지므로 약액이 흘러내릴 정도로 충분히 처리한다.
  - 먹노린재 방제 약제는 현재(2022년 5월) 벼에 54품목이 등록돼 있다. 농약안전정보시스템(http://psis.rda.go.kr)에서 사용 시기와 방법 등을 확인할 수 있다. 

 ○ 논에 침입한 암컷 한 마리가 20여 일 동안 평균 30개의 알을 낳고 알에서 깬 어린 벌레들이 또다시 벼를 빨아먹으므로 암컷이 알을 낳기 전인 7월 상순까지 예찰과 방제에 특별히 힘써야 한다.

 

 □ 먹노린재는 과거에는 큰 문제가 되지 않았으나, 2000년부터 문제 해충으로 언급되기 시작해 지금은 전남과 충남지역을 중심으로 우리나라 거의 모든 벼 재배지에서 발생하고 있다. 

 ○ 최근 5년간 발생면적을 살펴보면 2017년 약 2.1만 헥타르에서 2020년 약 4.1만 헥타르로 2배가량 늘어났다가 2021년에는 약 0.5만 헥타르로 감소했다.
     * 먹노린재 발생면적(ha): (‘17) 21,118 → (‘18) 32,779 → (‘19) 32,282 → (‘20) 40,506 → (‘21) 4,511

 ○ 하지만 비가 적게 내리고 기온이 높은 상태가 지속되거나 방제에 소홀하면 언제든지 먹노린재 발생량이 다시 증가할 수 있다.

 

 □ 농촌진흥청 작물기초기반과 최준열 과장은 “먹노린재는 일 년에 한 세대 발생하는데 논에 정착하는 초기 밀도가 한 해 농사의 피해 규모를 결정한다. 먹노린재의 초기 이동 시기부터 관심을 기울이고 논으로 이동한 어른벌레가 산란하기 전인 7월 상순까지 개체 수를 줄이려는 노력이 필요하다.”라고 말했다.

 

 

[문의] 국립식량과학원 작물기초기반과 최준열 과장, 서보윤 연구관 (063-238-5341)


[자료제공 :icon_logo.gif(www.korea.kr)]

0 Comments

모나미 유성매직 흑색 12개
칠성상회
팬시로비 공책 5000 칸이넓은 노트 (10mm) (랜덤1개)
칠성상회
원형 투명 실링 스티커 20mm 1장 50개
칠성상회
3M 스카치 쿠션랩 포장용 에어캡 3003
바이플러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