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 Ad

[산업통상자원부]포괄적·점진적 환태평양동반자 협정(CPTPP) 가입신청 관련 공청회 개최

btn_textview.gif


포괄적·점진적 환태평양동반자 협정(CPTPP) 가입신청 관련 공청회 개최


 

산업통상자원부(장관 문승욱)3.25() 정부세종청사 12동 대강당에서 포괄적·점진적 환태평양동반자 협정(CPTPP)*가입신청 관련 공청회 개최하였습니다.

 

* Comprehensive and Progressive Agreement for Trans Pacific Partnership: 아태지역 11개국이 참여하는 다자간무역협정으로, 인구 5.1억명(전세계의 6.6%), 교역규모 5.2조 달러(14.9%), 명목 GDP 10.7조 달러 규모(12.7%)의 경제권(‘20년 기준)

 

이번 공청회는 통상조약의 체결절차 및 이행에 관한 법률(이하 통상조약법’) 7에 따라 CPTPP 가입 계획을 수립하기 앞서 이해관계자, 전문가 등 대국민 의견을 수렴하기 위해 개최되었습니다.


 

공청회에는 정부 관계자, 전문가, 관련 업계 종사자 등을 포함하여 다양한 이해관계자가 참석하였으며, 공청회 진행상황은 산업부 유튜브를 통해 온라인으로도 중계되었습니다.

 

공청회는 산업부 전윤종 통상교섭실장의 개회사를 시작으로, CPTPP 개요 및 추진경과, CPTPP 가입의 경제적 타당성 검토 및 국내 보완대책 방향에 대한 주제발표에 이어, 종합토론 순으로 진행되었습니다.


 

전윤종 실장은 개회사를 통해, CPTPP 가입은 수출시장 확보, 안정적 공급망 구축 등 경제적 효과와 함께 역내 다자간 공조에 참여한다는 전략적 가치가 크다는 점을 강조하고,

 

ㅇ 시장 추가개방에 따른 농수산업계의 우려를 감안하여 피해분석과 보완대책 방향을 검토해왔는바, 공청회를 통해 이를 공유하고 폭넓은 의견수렴을 진행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주제발표에서는 대외경제정책연구원 등 국책연구기관에서 CPTPP 가입의 경제적 영향*에 대해 발표하고, 소관부처에서 보완대책 방향 대해 설명하였습니다.

 

* 시장개방에 따른 교역 확대 및 생산·투자·고용 증가로 실질 GDP 0.33~0.35%, 소비자후생 30억 달러 증가 전망(KIEP)

 

특히, 정부는 보완대책 방향에 대하여, 농수산분야의 충분한 피해보전 함께 피해품목 경쟁력 제고, 국내 수요기반 확충, 구조개선, 생활여건 향상 종합적 지원대책을 마련하고,

 

- 제조업분야 소부장·신산업 중소기업 경쟁력 강화 정책 패키지 ·중소 상생협력, 판로 확충 CPTPP 관련 안전망 구축해 나가겠다고 밝혔습니다.

 

* 보완대책 방향 기본원칙 : CPTPP 가입으로 인한 피해에 대해 충분한 제도적 보상, 협상타결 에도 취약분야 경쟁력 제고 지원 확대, CPTPP 활용지원을 통한 강소기업 공세적 발굴


 

종합토론에서는 학계, 연구기관, 농수산 분야의 각계 전문가와 이해관계자들이 패널로 참석하여 CPTPP 가입 관련 다양한 이슈에 대해 논의하는 한편,

 

질의응답 시간을 통해 일반 방청객들에게도 발언 및 질의기회를 제공하였습니다.


 

정부는 이번 공청회 의견수렴 결과를 토대로, 통상조약법에 따라 CPTPP 가입신청 관련 국내 절차를 진행해 나갈 계획입니다.



[자료제공 :icon_logo.gif(www.korea.kr)]

0 Comments

아이디얼 양장노트 25절 라인노트 줄공책
칠성상회
바르네 풀테이프 BGT-0180(8.4mmX12m) 본품 랜덤
칠성상회
아모스 글라스데코 썬데코 별자리 어린이 미술놀이
칠성상회
LF쏘나타 뒷좌석 편안하개 차량용 에어매트
칠성상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