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 Ad

[중소벤처기업부]비대면 결제수단 ‘소상공인 간편결제’, 2년여 만에 결제액 1조원 돌파

btn_textview.gif

중소벤처기업부(장관 박영선, 이하 중기부)와 (재)한국간편결제진흥원(이사장 윤완수, 이하 한결원)은 모바일 간편결제 시스템인 소상공인간편결제액이 1조원을 돌파(11.10일 기준, 10,010억원)했다고 밝혔다.
 
소상공인간편결제(이하 간편결제) 서비스를 본격 시작(‘19.1.28.)한 지 1년 10개월 만에 달성한 성과로 지난 7월에 5,000억원 돌파 이후 4개월 만에 1조원을 달성해 결제시장에서 간편결제가 성공적으로 정착하고 있는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코로나19 영향 등으로 비대면 소비에 관한 관심이 증가한 3월 이후 가맹점 신청이 지속적으로 늘어나면서 11월 10일 기준 66만 6,000개로 지난해 말(32만 4,000개) 보다 2배 이상 증가했다.
< 가맹점 현황 >
(단위: 만 개, ‘20.11.10 기준)

 
간편결제 결제액도 ’19년 한 해 동안 768억원 이었으나 올해 4월부터는 매월 1,000억원 이상 결제되면서 소비자들이 지역 카페 등의 온라인 커뮤니티에서 가맹점 정보를 교환하거나 사용 후기를 남기는 등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 SNS 카페 : 요즘 같은 사회적 거리두기 실천 중일 때 카드로 터치 안 해서 좋아요. 결제하고 매장주분께 핸드폰 보여드리면 카드 수수료 없이 현금으로 들어가니 더 좋아하세요
 
<결제액 현황>
(단위: 십억 원, ‘20.11.10 기준)

 
규모별 가맹점 현황을 보면, 0%대의 결제수수료를 적용받는 소상공인 점포가 61만개(91.9%)이며, 특히 결제수수료가 전혀 발생하지 않는 연 매출액 8억원 이하인 소상공인 가맹점이 89.1%인 59만3,000개를 차지하고 있다.
 
결제실적의 경우 전체 결제액 중 소상공인 가맹점에서 70.0%, 연 매출액 8억원 이하의 가맹점에서 62.5%가 결제되어 총 결제액의 60% 이상이 수수료 없이 서비스를 제공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수수료 구간별 결제 현황 >
(단위: 건, 백만원, ’20.11.10 기준)
구 분 소상공인 가맹점 일반가맹점 등
  연매출액 8억 이하
(수수료 0%)
8억~12억
(수수료 0.3%)
12억 초과
(수수료 0.5%)
소 계
가맹점 593,278
(89.1%)
10,062
(1.5%)
8,902
(1.3%)
612,242
(91.9%)
53,329
(8.1%)
665,571
(100%)
결제금액 625,475 (62.5%) 40,529
(4.0%)
34,866
(3.5%)
700,870
(70.0%)
300,103
(30.0%)
1,000,973
(100%)
 
간편결제의 사용이 증가하면서 소상공인들 사이에서도 수수료가 저렴하다는 입소문이 퍼지면서 간편결제 전도사로 나서는 경우도 발생하고 있다.
 
* 청년몰 입주상인 : 시장에서 재료 구매할 때 꼭 제로페이로 결제해요. 결제수수료 절약되는 걸 눈으로 보다 보니까 이웃 사장님도 수수료 아꼈으면 하는 마음도 있고, 상인들끼리 서로서로 도우면서 장사하니까 좋죠.
 
업종별로 보면, 가맹점은 음식점이 16.6만개(25%)로 가장 많았고,
생활·교육 12.1만개(18.3%), 편의점·마트 8만개(12.0%) 순으로 나타났다.
 
< 업종별 가맹점 현황 >
(단위: 만 개, ‘20.11.10 기준)
구분 음식점 생활/교육 편의점/마트 기타 의류/잡화 식자재/유통 카페/디저트 보건/복지 문화/체육 자동차/주유 부동산/임대 가전/통신 건축/건물 디자인/인쇄 가구/실내장식 여행/숙박 기업/기관
가맹점
(만개)
16.6 12.1 8.0 7.5 5.1 3.7 3.6 2.5 1.8 1.2 1.1 0.9 0.9 0.5 0.5 0.5 0.2 66.6
비중
(%)
25.0 18.3 12.0 11.3 7.7 5.5 5.4 3.7 2.6 1.8 1.7 1.3 1.3 0.7 0.7 0.7 0.2 100
 
업종별 결제액은 생활·교육이 20.2%로 가장 많았고, 음식점 20.18%, 편의점·마트 18.8%, 가구·실내장식 7.3%, 식자재·유통 6.7% 순으로 나타났다.
< 가맹점 업종별 결제액 현황 >
(단위: 만 개, 억 원, ‘20.11.10 기준)
구분 생활/교육 음식점 편의점/마트 가구/실내장식 식자재/유통 보건/복지 의류/잡화 카페/디저트 문화/체육 가전/통신 기타 자동차/주유 기업/기관 부동산/임대 건축/철물 디자인/인쇄 여행/숙박
결제액
(억원)
2,021.9 2,019.9 1,884.8 732.9 675.6 643.5 434.9 383.6 362.2 326.7 285.2 108.7 48.7 34.3 17.1 16.7 13.3 10,010
비중
(%)
20.20 20.18 18.8 7.3 6.7 6.4 4.3 3.8 3.6 3.3 2.8 1.1 0.5 0.3 0.2 0.2 0.1 100
 
간편결제 모바일상품권은 온누리상품권과 46종의 지역사랑상품권이 발행되고 있으며 결제 수수료가 없고 발행·관리비용 절감(지류 3.8% → 모바일 1.5%), 부정유통 방지 등의 이점으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 00시청 : 지역 소상공인의 수수료 부담을 경감시켜주고, 부정유통 방지 및 상품권 이용 편의를 도모하기 위해 모바일 상품권을 발행하고 있으며, 매월 이용률이 급격히 증가하여 2021년에는 더욱 확대 발행할 계획
 
특히 지난 11월 2일 한우협회에서 발행한 한우사랑상품권은 출시 2일 만에 완판되는 등 특정 상품의 소비 촉진 수단으로 간편결제 상품권이 유용한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 제로페이 연계 지역사랑상품권 발행 현황 >
(’20.11월 기준)
서울(26) 경남(13) 전남(3) 강원(2) 경북(1) 충북(1)
서울시 및 25개 지자체 경상남도,김해시,창원시,하동군,남해군,합천군,산청군,고성군,밀양시,함양군,거제시, 진주시, 함안군 곡성군,
담양군,
강진군
강원도,
춘천시
고령군 진천군
 
모바일상품권 결제금액을 보면, 생활·교육이 23.1%로 가장 많았고,
편의점·마트가 19%, 음식점 14.4%, 가구·실내장식 9% 순으로 나타났다.
<가맹점 업종별 모바일상품권 결제액 현황>
(단위: 만 개, 억 원, 20.11.10 기준)

 
사용자의 경우, 여성이(61.3%) 남성보다(38.7%) 더 많이 사용하고 있고, 연령별로는 40대(38.8%)가 가장 많았으며 30대(28.9%), 50대(15.7%) 순으로 나타났다.
 
간편결제 가맹점에 설치되어있는 큐알(QR)키트의 경우 결제뿐만 아니라 코로나19 확산을 막기 위해 실시하고 있는 출입인증 서비스를 서울지역 가맹점을 대상으로 10월 21일부터 제공하는 등 다양한 분야로 활용되고 있다.
 
한결원 윤완수 이사장은 “간편결제가 4개월여 만에 누적 결제 5,000억원에서 1조원으로 급성장했다는 것은 간편 결제시장에서 빠르게 안착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며, “앞으로는 해외결제 연동과 온라인 직불경제 도입으로 소상공인들의 글로벌화와 디지털화를 적극 지원 하겠다”고 말했다.
 
중기부 박영선 장관은 “앞으로 간편결제가 보편적 비대면 결제 수단으로 자리 잡을 수 있도록 가맹점을 확대(’23년까지 200만개)하고 법적·제도적 지원 방안을 강구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이 보도 자료와 관련하여 보다 자세한 내용이나 취재를 원하시면 중소벤처기업부
스마트소상공인육성과 김병진 사무관(☎042-481-6828) 에게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자료제공 :icon_logo.gif(www.korea.kr)]

0 Comments

알파 베이직 젯소 500ml
칠성상회
3M 전자계산기 SJC-830P
바이플러스
토이웍스 KC정품 유유자적오리 애착인형 100cm
칠성상회
방우 시가 소켓 12V - 24V 겸용 카라반 캠핑카 DIY
칠성상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