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 Ad

[질병관리청]2021년 결핵 역학조사, 추가환자 243명 조기 발견

btn_textview.gif


2021년 결핵 역학조사, 추가환자 243명 조기 발견


- 2021년 결핵 역학조사 통계집 발간 -




- 주요 내용 -


□ 결핵환자 발생시 가족 및 집단시설 내 역학조사로 조기 발견 및 추가전파 억제


 ○ 가족접촉자 역학조사를 통해 결핵환자 158명 발견, 일반인 결핵발병의 16배


   - 잠복결핵감염자 5,988명 진단, 치료 시작 63.3%, 치료 완료 78.3%


 ○ 집단시설 역학조사를 통해 결핵환자 85명 발견, 일반인 결핵발병의 2.6배


   - 잠복결핵감염자 11,009명 진단, 치료 시작 52.7%, 치료 완료 80.7%


 ○ 결핵전파 차단을 위해 역학조사 적극 협조 및 잠복결핵감염 등 치료 당부


□ 결핵 진단이 늦은 경우에는 환자의 결핵 상태 악화 및 높은 전염성


 ○ 증상 있는 상태에서 결핵 진단 시의 도말양성 환자 수는 검진으로 발견될 때의 2.3배, 도말양성 3+이상 환자 수는 검진 발견 시의 4배


 ○ 결핵증상 발생 전 조기 진단이 중요하므로 정기적인 건강검진 당부







□ 질병관리청 백경란 청장은 2021년 결핵환자의 가족과 집단시설 접촉자 대상으로 실시한 역학조사에서 추가 결핵환자 243명이 발견되었고, 특히 가족 내 발병률은 일반인에 비해 16배 높다고 발표하였다. 


 ○ 결핵 역학조사는 결핵환자의 전염성 등 특성을 파악하고, 같은 공간에서 지낸 접촉자를 대상으로 결핵 및 잠복결핵감염 검사를 실시하여, 추가 환자와 잠복결핵감염자를 신속히 발견하고 치료하는 과정으로 진행된다.


   * ’13년부터 결핵전문역학조사반을 구성·운영하였으며, 현재 전국 5개 권역 질병대응센터에 반원(25명)을 배치하여 지자체와 함께 결핵 역학조사 실시

□ 2021년 가족접촉자 대상 결핵 역학조사 결과는 다음과 같다(붙임 2 참고).


 ○ 2021년 결핵환자의 가족접촉자* 2만 6,432명을 대상으로 결핵 검진결과, 추가 결핵환자 158명을 발견하였고(접촉자 10만 명당 568명), 이는 일반인 결핵 발병의 약 16배 높은 수준이다. 


   * 호흡기 결핵환자가 결핵 치료를 시작하는 시점을 기준으로 3개월 이전부터 같은 주거 공간에서 생활한 가족 및 동거인


   - 또한, 잠복결핵감염자는 5,988명이 진단되었고, 잠복결핵감염률은 27.3%로, 2020년 잠복결핵감염률(27.4%)과 유사하였다. 


[1] 최근 5 가족접촉자 조사 결과 (20172021)

(단위: , (/10만 명), (%))

구분

2017

2018

2019

2020

2021

조사

결과

추가 결핵환자

(10만 명당)

282

(823.9)

154

(506.9)

120

(431.1)

126

(511.2)

158

(568.2)

잠복결핵

감염자()

5,365

(22.0)

6,711

(28.8)

5,761

(26.7)

5,547

(27.4)

5,988

(27.3)



○ 특히, 2021년부터 결핵환자의 가족접촉자 확인절차를 강화*함으로써 2021년 호흡기 결핵환자(20,290명)가 2020년 대비 9.6%(2,167명) 감소에도 불구하고 가족접촉자는 27,808명으로, 2020년 대비 12.8%(3,158명) 증가하였다.


   * 그간 결핵환자 진술에만 의존하여 가족접촉자를 파악하였으나, 행정정보공동이용망과 연계하여 동거인 수를 보조자료로 활용함으로써 가족접촉자 누락 방지


   - 이는 가족접촉자 5,481명을 추가로 파악함에 따라 결핵환자 32명이 조기 발견되었고, 잠복결핵감염자 1,496명이 추가 진단되었음을 의미한다.


 ○ 2021년에 진단된 잠복결핵감염자 중 치료대상자 5,590명의 63.3% (3,540명)가 치료를 시작하였고(전년 대비 3.4%p 증가), 치료완료예정자 중 78.3%(2,559명)가 치료를 완료하였다(전년 대비 20.7%p 증가).

 ○ 질병관리청은 결핵 검진 및 치료의 질 향상을 위하여 가족접촉자 검진 의료기관(580개)과 잠복결핵감염 치료의료기관(560개)을 운영*하고 있으며, 검사·치료 관련 비용은 전액 국가가 부담한다.


   * 검진 및 치료 의료기관 명단은 결핵제로 누리집(http://tbzero.kdca.go.kr)에서 확인 가능




[그림 1] 가족접촉자 잠복결핵감염 치료 현황 (2017-2021)





□ 2021년 학교 및 직장 등 집단시설에서 실시한 결핵 역학조사 결과는 다음과 같다(붙임 2 참고).


 ○ 2021년 전체 결핵환자 22,904명*(신환자 18,335명) 중 집단시설에 소속된 사례는 7,161건이며, 그 중 역학조사 실시기준**에 따라 총 3,999건(55.8%)을 조사하였다.


   * 신환자 및 재치료자(재발자, 치료중단 후 재치료자 등), 과거 치료여부 불명확 환자 포함

  ** 전체 결핵환자 대상 호흡기 검체 검사결과 양성 또는 흉부X선 검사 상 공동이 확인된 경우


   - (집단시설 발생) 우리나라 결핵환자 발생이 감소함에 따라 집단시설 관련 결핵환자 수도 매년 감소하고 있다. 특히, 2020년부터 코로나19 유행으로 학교 비대면 수업, 재택근무 등 사회적 거리두기를 시작하면서 큰 폭으로 감소하였고, 2021년에도 감소 추세가 이어졌다. 


   - (역학조사 실시) 역학조사 실시기준이 매년 강화되면서 집단시설 결핵환자 발생 건수 대비 역학조사 실시 건수의 비율은 매년 증가하다가, 2021년에는 전년대비 2.1%p 감소한 55.8%이었다. 


[2] 최근 5년 집단시설 결핵 역학조사 현황 (20172021)

(단위: , (%))

구분

2017

2018

2019

2020

2021

발생현황

(전년대비 변화율)

9,206

(1.2)

8,395

(8.8)

8,045

(4.2)

7,234

(10.1)

7,161

(1.0)

조사현황

(발생 건 대비 실시율)

3,759

(40.8)

4,041

(48.1)

4,526

(56.3)

4,188

(57.9)

3,999

(55.8)



 ○ 2021년 집단시설 결핵 역학조사를 통해 추가적으로 85명*(접촉자 10만 명당 94.4명)의 결핵환자와 잠복결핵감염자 1만 1,009명을 발견하였다. 


   - (추가환자) 접촉자 8만 9,215명 결핵검사를 통해 추가환자 85명을 발견하여 지난 해(102명) 대비 16.7% 감소하였고, 매년 감소 추세가 이어졌다. 시설별로는 사회복지시설 40명(47.0%), 직장 26명(30.6%), 의료기관 17명(20.0%) 순으로 확인되었다. 


   - (잠복결핵감염자) 결핵환자와 밀접하게 접촉한 4만 2,799명에 대해 잠복결핵감염 검사를 시행한 결과, 1만 1,009명(25.7%)이 양성이었고, 잠복결핵감염률은 사회복지시설 34.8%, 직장 29.4%, 의료기관 27.4% 순으로 확인되었다. 



[3] 최근 5년 집단시설 결핵 역학조사 결과 (20172021)

(단위: , (%))

구분

2017

2018

2019

2020

2021

조사

결과

추가 결핵환자

206

181

154

102

85

잠복결핵

감염자()

10,884

(18.1)

9,263

(18.4)

12,873

(19.1)

11,494

(21.7)

11,009

(25.7)


 - (잠복결핵감염 치료) 2021년에 진단된 잠복결핵감염자 중 치료대상자 10,445명의 52.7%(5,506명)가 치료를 시작하였고(전년 대비 3.0%p 증가), 치료완료예정자 중에서 80.7%(4,665명)가 치료를 완료하였다(전년 대비 1.2%p 증가). 


[그림 2] 집단시설 내 접촉자 잠복결핵감염 치료 현황 (2017-2021)



 ○ 집단시설별 역학조사 실시현황을 보면, 직장이 1,998건(50.0%)으로 가장 많았으며, 사회복지시설 859건(21.5%), 의료기관 650건(16.3%), 학교 266건(6.7%) 순으로 확인되었다.


   - 각 집단시설별 추가환자, 잠복결핵감염자 진단현황 등 세부현황은 「2021년 결핵 역학조사 통계집」에서 확인할 수 있다. 


   * 2021년 결핵 역학조사 통계집은 결핵제로 누리집(http://tbzero.kdca.go.kr) > 통계·간행물 > 간행물에서 확인 가능



□ 2019년~2021년 집단시설에 소속된 결핵환자 중 객담 도말검사* 양성인 환자현황을 분석한 결과(붙임 3 참고),


   * 객담 도말검사는 결핵 확진검사 중 하나이며, 환자의 객담(가래)을 현미경으로 직접 관찰하는 검사로써, 객담에서 결핵균이 관찰되면 양성판정을 내리며, 양성으로 판정되면 결핵 전염성이 높다고 봄. 결핵균 수에 따라 도말양성 1+, 2+, 3+, 4+로 판정, 숫자가 커질수록 전염성이 강함

 ○ 상대적으로 어린 학생 및 젊은 연령의 구성원이 많은 학교에서도 결핵환자 및 도말양성 환자 수는 감소하였으나, ’21년 객담 도말양성 3+ 이상인 결핵환자 수는 ’20년 대비 큰 폭으로(75.0%) 증가하였다. 


   * (객담도말 3+) ’19년 36명 → ’20년 12명 → ’21년 21명(+9)


 ○ 결핵 증상이 있는 상태로 진단되는 ‘유증상 발견’ 비율을 볼 때, 


   - 20~24세 및 65세 이상 연령의 유증상 발견율은 ’19~’21년 평균 유증상 발견율(58.3%)보다 높았고, 특히, 20-24세 환자 수는 감소하지만 유증상으로 발견되는 환자의 비율이 증가하고 있다. 


   * 20∼24세 : (’19) 62.4% → (’20) 63.8% → (’21) 66.9%

   * 65세 이상 : (’19) 70.7% → (’20) 66.5% → (’21) 65.6%


   - 결핵이 진행되어 증상이 있는 상태에서 결핵 진단 시 객담 도말양성 환자 수는 건강검진 등으로 조기에 발견되는 경우보다 2.3배로 많았고, 객담 도말양성 3+ 이상 환자 수는 4배로 많았다. 


 ○ ’21년에 객담 도말양성 상태로 결핵이 진단된 학생 환자 64명 중 70.3%인 45명이 유증상으로 진단되었으며, 대학생이 대부분(75.6%)을 차지하여 20대 청년도 검진을 통한 결핵 조기진단의 필요성을 시사하였다. 



□ 질병관리청 백경란 청장은 “철저한 역학조사를 통해 결핵 환자와 잠복결핵감염자를 조기 발견·치료하는 것이 결핵퇴치의 중요한 수단이므로, 결핵 발병 고위험군인 결핵환자 가족 등의 적극적인 참여와 의료기관 및 지역사회의 협조가 지속되어야 한다”고 당부하였다.


 ○ 또한 “결핵은 공기로 전파되는 감염병으로 학교나 직장 등 집단시설에 소속된 사람들은 정기적으로 검진을 받아 증상이 악화되기 전에 결핵을 발견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하였다. 


   - 특히 20~24세 청년의 경우 일반건강검진 수검율이 낮은 수준이어서 결핵 조기발견을 위해 정기적인 건강검진에 적극적인 참여를 독려하였으며, “20~30대도 건강검진을 무료로 받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 일반건강검진 수검율(국민건강보험공단 건강검진통계연보) (’19)74.1% → (’20)67.8%

   * 20-24세 일반건강검진 수검율 : (’19)47.4% → (’20)43.0%


 ○ 아울러, “코로나19 대응 등 어려운 여건에서도 결핵 역학조사를 차질없이 실시하여 결핵 감소에 기여한 지자체 및 의료인 등 관계자의 노고에 깊이 감사드린다”고 전했다.



<붙임> 1. 시·도별 결핵환자 신고 현황

  2. 결핵 역학조사 주요 결과

 3. 집단시설 내 객담 도말양성 환자 현황

 4. 결핵전문역학조사반 배치현황 및 결핵역학조사 흐름도

 5. 결핵 바로알기 카드뉴스

 6. 잠복결핵감염 바로알기 카드뉴스

 7. 결핵예방 홍보 포스터


[자료제공 :icon_logo.gif(www.korea.kr)]

0 Comments

알파 베이직 젯소 500ml
칠성상회
3M 전자계산기 SJC-830P
바이플러스
토이웍스 KC정품 유유자적오리 애착인형 100cm
칠성상회
방우 시가 소켓 12V - 24V 겸용 카라반 캠핑카 DIY
칠성상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