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 Ad

[고용노동부](설명) 한국경제(8.19) "고용률 높아졌다지만... 알바 뛰며 다른 일 찾는‘무늬만 취업자’급증�…

btn_textview.gif

2019.8.19.(월), 한국경제 "고용률 높아졌다지만... 알바 뛰며 다른 일 찾는‘무늬만 취업자’급증" 기사 관련 설명

주요 기사내용
36시간 미만이면서 추가 취업을 희망하는 ‘시간관련 추가취업가능자’가 월 기준 최대치를 기록<후략>
시간관련 추가취업가능자 등이 증가한다는 것은 질적인 면을 고려하면 고용 상황은 계속 나빠지고 있다는 의미라고 해석했다. <후략>

설명내용
취업자의 근로시간은 근로시간 단축, 일.생활 균형 문화 확산 등으로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추세를 보여 왔음

* 취업자 주당 취업시간(7월 기준, 시간): (‘00) 51.2 (’16) 43.4 (‘17) 43.2 (’18) 41.5 (‘19) 40.8

?‘여성’ 및 ‘고령자’의 경제활동 참여가 증가하면서, 단시간 취업자(36시간 미만자)는 증가 추세가 뚜렷함
* 36시간 미만 취업자 수(7월 기준, 천명): (‘00) 1,778 (’10) 3,438 (‘17) 4,151 (’18) 4,661 (‘19) 5,165
* 36시간 미만 취업자 비중(7월 기준, %): (‘00) 8.2 (’10) 14.0 (‘17) 15.3 (’18) 17.2 (‘19) 18.9

특히, 7월의 ‘36시간 미만’ 취업자 증가(+504천명) 증가는 ’여성‘ (+347만명), ’50대‘(+155천명) 및 ’60대 이상‘(+179천명) 장년층을 중심으로 두드러졌으며, 외국인 관광객 회복세, 정부 일자리 사업 등의 영향으로 ‘숙박음식업’(+107천명), ‘공공행정?보건복지업’(+131천명)에서 증가하였음

근로시간 단축 등 워라밸에 대한 국민의 관심도 높아지고 있으며, 시간제 일자리를 원하는 ‘여성’, ‘고령층’도 증가 추세임
* 여성 자발적 시간제 비중(8월 기준, %): (‘11) 47.8 (’14) 49.8 (’17) 53.2 (’18) 56.0
* 고령층 중 시간제 일자리 희망 비중(5월 기준, %): (‘11) 30.1 (’14) 33.3 (’17) 35.3 (’18) 37.7

다만, ‘36시간 미만 취업자’ 증가와 함께 ‘추가취업을 희망하는 자’, (시간관련 추가취업가능자, +126천명) 뿐 아니라 ‘현 일자리를 계속하고자 하는 자’(+384천명)도 크게 증가하는 상황임
* 7월의 ‘시간관련 추가취업가능자’(+126천명) 증가는 ’50대 이상‘ 장년층, 경기 부진을 지속되고 있는 ‘건설업’, ‘제조업’ 중심으로 증가
전반적 고용 증가 추세에 대한 감안 없이, ‘시간관련 추가취업가능자’ 증가만으로 고용의 질이 나빠진 것으로 단정할 수는 없음


문? 의:? 미래고용분석과? 김주봉 (044-202-7284)?
[자료제공 :icon_logo.gif(www.korea.kr)]

0 Comments

물고기 애벌레 원목 낚시놀이 장난감
칠성상회
반짝반짝 보석스티커(1000원X20개)
칠성상회
월드 중장비-지게차 자동차 미니카 건설차
칠성상회
아이디얼 양장노트 25절 라인노트 줄공책
칠성상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