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 Ad

[산림청]무궁화 속 식물 대륜목근의 품종 ‘서봉’, 엽록체 유전체 지도 완전 해독

btn_textview.gif

FileDown.do?atchFileId=FILE_000000020104630&fileSn=2
FileDown.do?atchFileId=FILE_000000020104630&fileSn=3
FileDown.do?atchFileId=FILE_000000020104630&fileSn=4
무궁화 속 식물 대륜목근의 품종 ‘서봉’, 엽록체 유전체 지도 완전 해독
- 국립산림과학원, 무궁화와 진화적 연관관계 밝혀 -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원장 배재수)은 무궁화 속 식물인 대륜목근의 대표 품종‘서봉’(Hibiscus sinosyriacus L.H.Bailey cv.‘Melmouve’)의 엽록체 게놈 염기서열을 해독하여 유전체 지도를 완성하였다고 밝혔다.

대륜목근은 꽃이 크고 생장이 우수하며 무궁화와 교배가 잘 되어 국내외적으로 크고 화려한 무궁화 품종을 만들기 위한 재료로 이용된다. 그러나 이러한 우수성과 활용성에도 불구하고 종에 대한 유래와 유전적 특성 연구가 거의 되어있지 않았다.

국립산림과학원 무궁화 연구팀이 대륜목근의 엽록체 염기서열을 분석한 결과 대륜목근 ′서봉′의 엽록체 게놈은 총 160,892개의 염기로 이루어져 있으며, 약 161,000개의 염기로 이뤄진 무궁화 엽록체보다는 다소 작았다. 또한, 엽록체 안에는 130개의 유전자가 포함되어 있었는데, 재래종 무궁화와 유전자의 수는 같았지만, 염기서열은 일부 다르게 나타났다. 특히, 대륜목근에서만 발견되는 특이한 변이가 4곳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대륜목근과 함께 우리나라 재래종 무궁화와 대만무궁화, 하와이무궁화 등 16개 종의 진화적 연관성을 분석한 결과, 대륜목근은 무궁화와 공통조상으로부터 갈라졌으며, 다른 종들보다 비교적 이른 시기에 분화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저명한 국제학술지 Forests에 게재되었다.

특용자원연구과 이욱 과장은 “이번 연구 결과는 아름다운 무궁화 품종을 개발하는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라고 말했다.
[자료제공 :icon_logo.gif(www.korea.kr)]

0 Comments

알파 베이직 젯소 500ml
칠성상회
3M 전자계산기 SJC-830P
바이플러스
토이웍스 KC정품 유유자적오리 애착인형 100cm
칠성상회
방우 시가 소켓 12V - 24V 겸용 카라반 캠핑카 DIY
칠성상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