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 Ad

[농림축산식품부]2020년 농가소득 4,503만원으로 역대 최고 기록

btn_textview.gif

□ 5.26일 발표된 통계청 「2020년 농가경제조사 결과」에 따르면 ‘20년 농가소득은 평균 4,503만원으로, ’16년 3,720만원 대비 21.1%(783만원) 증가한 역대 최고 소득을 기록했다.

 
 농업소득

 

  ㅇ 쌀 등 주요 농산물에 대한 선제적 수급안정 대책, 재해보험 등 농가 경영안정 지원에 힘입어 농업소득은 ’16년 1,007만원에서 ‘20년 1,182만원으로 17.4%(175만원) 증가하였다.

   - (쌀) ’17년 선제적이고 과감한 수급대책을 추진하여 쌀값 회복 계기를 마련하였으며, 논 타작물 재배지원(‘18~’20) 등을 통해 공급 과잉을 완화하고 쌀값을 안정적으로 유지해왔다.

     * 수확기 쌀값(원/20㎏) : (‘16) 32,452 → (’18) 48,392 → (‘20) 54,121

    · 특히, ’20년은 장마·태풍 등으로 인한 생산량 감소에 대응하여 정부양곡 공급 등의 수급안정 대책을 조기에 수립하는 등 안정적 식량 공급을 추진하였다.

   - (채소·과수) 마늘·양파 등 주요 품목 수급안정을 위해 농업관측의 정확도 제고 및 자조금 중심의 사전적 수급조절 강화, 채소가격안정제 확대 등을 추진하였고, 로컬푸드 활성화를 통한 중소농가의 판로 확충도 지속 추진해왔다.

     * 채소가격안정제/농업관측 예산(억원) : (’16) 35/83 → (’18) 168/85 → (’20) 242/169
     * 로컬푸드 직매장 수(개소)/매출액(억원) : (’16) 154/2,607→ (’18) 229/4,348 → (’20) 554/7,143

    · ’20년의 경우 재해 등으로 인한 생산량 감소로 주요 품목의 가격이 상승하여 채소(9.9%, 84만원 증가), 과수(16.8%, 68만원 증가)의 농작물수입이 전년 대비 크게 증가하였다.

     * 주요 품목 가격(배추, 사과) : (‘19) 2,154원/포기, 26,299원/10㎏ → (‘20) 3,389, 41,176
   - (축산) 우수종축 보급 확대 및 쇠고기 1등급 출현율 증가 등 축산물 생산성 향상, 과잉이 우려되었던 돼지에 대한 선제적 수급조절 등 축산농가 소득안정 대책을 추진하였다.

     * 쇠고기(한우) 1+이상 등급 출현율(%) : (’16년)40→(’18)42.6→(’20)48

   - (재해지원) 봄철 냉해(‘18년, ‘20년), 긴 장마(‘20년), 태풍(‘19년, ‘20년) 등 빈번한 재해에도 불구하고 농작물재해보험 확대 및 재해복구비 인상으로 농가 경영안정에 기여하였다.

     * 재해복구비(억원) : (‘16) 631 → (’18) 2,262 → (‘20) 3,701
     * 농작물재해보험금(억원) : (`16) 1,115→(`18) 5,842→(`20) 10,193

 
 이전소득

 

  ㅇ 공익직불제 도입과 농업인 국민연금 지원 등의 영향으로 이전소득은 ‘16년 878만원에서 ’20년 1,426만원으로 62.4%(548만원) 큰 폭의 증가를 보였다.

   - ‘20년 공익직불제 도입으로 개편 전인 ’19년 대비 기본형 공익직불금 총 지급액이 약 1조원 증가하였고, 평균 지급액(총지급액/총지급건수)은 203만원으로 개편 전(‘19년, 109만원) 대비 86%(94만원) 증가하는 효과가 있었다.

    · 특히, 0.5ha 이하 농가에 대해 면적에 관계없이 연 120만원을 지급하는 소농직불금을 신설하여 중소규모 농가의 소득 안정에 기여하였다.

     * 기본형 공익직불금 총 지급액(’20) : 2조 2,769억원(제도 개편 전 쌀고정·밭고정·조건불리직불금 지급액(’19년 1조 2,356억원) 대비 1조 413억원 증가)

     * 직불금 총액 중 0.5ha 이하 농업인(농가) 수령액 비중 : (‘19) 11% → (’20) 22%
   - 이 밖에도, 농업인 국민연금 지원 및 농지연금 가입 확대 등을 통해 농가에 대한 소득안전망을 지속적으로 확충해왔으며, ‘20년에는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긴급 재난지원금 지급의 효과도 반영되었다.

     * 농업인 국민연금 수급인원(천명)/월평균급여액(천원) : (’16) 428/248 → (’18) 449/272 → (’20) 478/306

     * 농지연금 가입건수(누적)/평균월지급액(천원) : (’16) 6,783/915→ (’18) 11,283/903→(’20) 17,098/929

 
 농업외소득

 

  ㅇ 농가소득 다각화를 위한 농촌관광 등 지속적인 농촌융복합산업 활성화 추진 등으로 농업외소득은 ’16년 1,525만원에서 ‘20년 1,661만원으로 8.9%(136만원) 증가하였다.

   - 다만, ’20년은 코로나19에 따른 사회적 거리두기 영향으로 농촌관광 등이 크게 감소하면서 전년대비 4.1% 감소하였다.

     * 농촌융복합산업 인증경영체 수(개소) : (`16) 1,130 → (’18) 1,524 → (‘20) 1,909
     * 농촌 관광객 수(만명) : (’16) 1,001→ (`18) 1,237 → (‘19) 1,307 → (‘20) 656

□ 경영주 연령별로 보면 ‘16년 대비 ‘20년 모든 연령대에서 농가소득이 증가하였으며, 가장 높은 소득을 보이는 50대의 농가소득이 ‘20년 7천만원대에 진입하였다.

  ㅇ 또한, 공적보조 증가의 영향을 크게 받는 70세 이상 농가의 소득이 ’16년 2,448만원에서 ‘20년 3,390만원으로 가장 큰 폭(38.5%, 942만원)으로 증가하였다.

□ 영농형태별 농가소득 또한 ’16년 대비 ‘20년 모든 품목에서 증가하였으며, 논벼(59.5%), 과수(17.7%), 채소(15.8), 축산(4.8%) 순의 증가율을 보였다.

  ㅇ 특히, 쌀값 안정, 공익직불제 도입 등의 영향으로 논벼농가의 소득이 ’16년 2,212만원에서 ‘20년 3,528만원으로 큰 폭(1,316만원)으로 증가하였다.
□ 농가의 자산은 ’16년 대비 ‘20년에 19.3%(9,131만원) 증가, 부채는 동 기간 중 40.6%(1,086만원) 증가하였으며, 자산대비 부채 비율이 5~6%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 농가 자산대비 부채 비율(%) : (’16) 5.6→ (`18) 6.7 → (‘20) 6.6

 


[자료제공 :icon_logo.gif(www.korea.kr)]

0 Comments

알파 베이직 젯소 500ml
칠성상회
3M 전자계산기 SJC-830P
바이플러스
토이웍스 KC정품 유유자적오리 애착인형 100cm
칠성상회
방우 시가 소켓 12V - 24V 겸용 카라반 캠핑카 DIY
칠성상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