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 Ad

[중소벤처기업부]중소벤처기업이 공동으로 사용 가능한 화상회의실 구축

btn_textview.gif

중소벤처기업부(장관 박영선, 이하 중기부)는 중소·벤처기업의 비대면 업무 효율을 높이고 디지털화를 촉진하기 위해 9월 14일(월)부터 9월 28일(월) ‘중소기업 공동 활용 화상회의실 구축사업’ 수요기관 신청을 받는다고 밝혔다.
 
중기부는 이 사업을 위해 ’20년 3차 추경으로 234억원을 확보했고 중소벤처기업이 밀집해 있는 지역 내 수요기관을 선정해 화상 회의 장비 구축, 국산 SW 솔루션 구입, 스마트워크 부스 설치 비용 등을 지원해 원격근무 확산을 촉진하는 사업이다.
 
신청대상은 중소벤처기업 지원기관과 업종별 협회·단체*로 기존에 사용중인 회의실에 시스템을 구축해 중소벤처기업에게 상시 개방이 가능한 기관으로 한다.
 
* (예시) 지식산업센터, 창업보육센터, 테크노파크, 수출지원센터, 업종별 협단체 등
 
지원규모는 총1,567개소로 일반형(1,562개소, 1,200만원이내)과 확장형(5개소, 5억원이내)으로 구분된다.
 
일반형은 전국 1,562개소에 영상장비, 모니터, 스피커폰, 국산 소프트웨어 구입비용 등으로 개소당 1,200만원이내로 지원한다. 이 중 50개소는 1~2인실용 별도 공간에서 재택근무가 가능한 스마트워크 부스 설치를 추가로 지원한다
 
확장형은 지역 거점기능 역할을 수행하는 5개 지역을 대상으로 대규모 실시간 수출상담회, 투자설명회(IR)가 가능하도록 고화질 디스플레이 및 최첨단 음향장비 등 5억원이내로 설치비용을 지원 할 계획이다.
 
사업이 완료되면 코로나19 확산으로 비즈니스 활동이 어려워진 중소·벤처기업의 온라인 원격근무 등 비대면 업무를 촉진하여 기업 활동의 어려움을 상당부분 해소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 사업은 9월 14일(월)부터 9월 28일(월)까지 e-나라도움(www.gosims.go.kr) 누리집에서 신청이 가능하며 평가절차는 1차 서류평가와 2차 현장평가를 거쳐 최종 1,567개소를 선정해 연내 구축을 완료 할 예정이며 자세한 사항은 중기부, 창업진흥원 누리집에 사업 공고 내용을 참고 하면 된다.
 
일반형 1,562개소 선정결과는 시도별 테크노파크와 중소기업 융합 중앙회 누리집에서, 확장형 5개소는 창업진흥원 누리집에서 10월 중 공지할 예정이다.
 
중기부 김성섭 지역기업정책관은 ”코로나19 이후 사회·경제 패러다임이 비대면 중심으로 급변하고, 중소벤처기업의 디지털 전환은 더 이상 선택이 아닌 생존의 문제가 되고 있다“ 면서,
 
”중소기업 공동활용 화상회의실 구축사업을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추진해 중소벤처기업 원격근무 확산의 디딤돌 역할을 하겠다“고 밝혔다.
 
 
 
이 보도 자료와 관련하여 보다 자세한 내용이나 취재를 원하시면 중소벤처기업부 지역기업육성과 이철한 사무관(☎042-481-1678), 고용민 주무관(☎042-481-6836) 에게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참고 1   온라인 공동활용 화상회의실 구축사업 개요
 
□ 사업목적 : 중소·벤처기업 밀집지역內 화상회의실 구축 지원으로 중소·벤처기업의 비대면 업무 효율성 제고 및 디지털화 촉진
 
* 대상 : 지식산업센터, 테크노파크, 창업보육센터, 수출지원센터, 업종별 협단체 등
 
□ 선정규모
 
ㅇ 일반형 : 1,562개소 이내 (일반형 1,512개소, 일반형+스마트워크 부스 50개)
 
- 일반형 화상회의실 중 50개소는 1~2인실용 별도 공간에서 재택근무가 가능한 스마트워크 부스 설치를 추가 지원 (단위:개)
서울 경기 인천 강원 대전 세종 충남 충북 대구
263 264 75 75 75 45 75 75 75
경북 부산 울산 경남 광주 전남 전북 제주 합계
75 75 45 75 75 75 75 45 1,562
* 시·도별 수요에 따라 선정 규모 조정 가능
 
ㅇ 확장형 : 5개소 이내 (대규모 수출·투자상담회, 지역거점기능 역할 수행)
 
□ 지원내용 : 화상회의 장비, SW솔루션 구입, 스마트워크 부스 설치 비용 등
 
유형 지원 내용 세부 내용 지원예산 비고


일반형
(1,512개)
+
스마트
워크부스
(50개)
· 화상회의실 구축
 
* 기존 수요기관 회의실을 활용하여 구축
· 화상회의실 구축비용 지원
- 소형 : 7인실 이하
- 중형 : 8인실~16인실
- 대형 : 17인실 이상
 
* 영상장비, 음향장비, 제어장비, 화상회의 솔루션
<소형>
8백만원
소·중·대
회의실
中 택 1
<중대형>
12백만원
· 스마트워크부스 추가설치 지원 · 1~2인실용 재택근무가 가능한 스마트워크부스 추가설치 8백만원 50개소
확장형
(5개소)
· 대규모 실시간 수출 ·투자상담회 개최 · 고화질·고음향 디스플레이 및 최첨단 음향장비 구축 5억원 나라장터
조달입찰
 
□ 추진일정 : 수요기관 모집(8.26~9.28) → 선정평가(9.29~10.16) → 공급기업 모집(9.29~10.16) → 협약체결(10.19~10.23) → 수요기관과 공급 기업 매칭(10.26~30) → 구축(11.2~12.11) → 사업비 정산(12.11~)
 
참고 2   일반형 화상회의실 구축 선정평가 기준
 
 
□ 추진원칙
구분 내용
활용성 연간 활용계획의 적절성
사후관리 사후관리 계획(중요재산 관리 등), 이용실적 관리 등의 타당성
개방성 건물 내부 접근 용이, 외부와 네트워킹 원활
밀집도 중소·벤처기업 밀집, 중소·벤처기업 지원 인프라 연계
 
□ 평가기준
구분 평가요소
서면평가
(1차 평가)
활용성 연간 활용계획의 적절성
사후관리 사후 관리 및 이용실적 관리의 타당성
장비 유지보수 및 인력배치의 적절성
현장평가
(2차 평가)
개방성 화상 회의실 구축 예정 입지 및 교통 접근성
화상 회의실 개방 여부
밀집도 중소벤처기업 등 밀집 여부 및 입주기업 여부
전력공급 및 정보통신망의 안정성 확보 등
* (서면평가) 화상회의실 구축·운영계획서 내용에 대해 서류평가를 실시하며, 권역별 선정규모와 관계없이 서류평가 결과 60점 미만은 탈락(부적격) 처리
 
* (현장평가) 화상회의실 구축 시설에 대한 현장 평가 실시
 
※ 평가 항목의 구성 및 점수 배점은 운영기관별로 내부 기준에 따라 구성 가능
참고 3   확장형 화상회의실 구축 선정평가 기준
 
□ 추진원칙
구분 내용
구축계획 화상회의실 구축방향의 적절성 및 추진 일정의 타당성
대응자금 정부지원금 대비 대응자금 비율(사업수행 의지 및 책임성 확보)
활용성 서면평가 : 연간 활용계획의 적절성
현장평가 : 지역 거점기능 수행 정도
사후관리 사후관리 계획(중요재산 관리 등), 이용실적 관리 등의 타당성
개방성 건물 내부 접근 용이, 외부와 네트워킹 원활
밀집도 중소·벤처기업 밀집, 중소·벤처기업 지원 인프라 연계
 
□ 평가기준
구분 평가요소 배점
서면평가
(1차 평가)
구축계획 화상회의실 구축 예정 조감도, 평면도, 공간구성도의 적합성 30
화상회의실 필수 구성요소(장비, 흠읍벽 등) 산출금액의 적절성
대응자금 정부지원금 대비 대응자금 비율 20
활용성 연간 활용계획의 적절성 30
사후관리 사후 관리 및 이용실적 관리의 타당성 20
장비 유지보수 및 인력배치의 적절성
소 계 100
현장평가
(2차 평가)
개방성 화상 회의실 구축 예정 입지 및 교통 접근성 30
화상 회의실 개방 여부
활용성 지역 거점기능 수행 정도 40
밀집도 중소벤처기업 등 밀집 여부 및 입주기업 여부 30
전력공급 및 정보통신망의 안정성 확보 등
소 계 100
* (서면평가) 화상회의실 구축·운영계획서 내용에 대해 서류(필요시 대면)평가를 실시하며, 선정규모와 관계없이 서류평가 결과 60점 미만은 탈락(부적격) 처리
 
* (현장평가) 화상회의실 구축 시설에 대한 현장 평가 실시
참고 4   시도별 신청문의 담당자 연락처
 
□ 일반형 신청 : 운영기관(테크노파크 및 중소기업융합중앙회)
지역 운영기관명 담당자 직함 연락처 이메일
서울 서울테크노파크 최예은 주임 02-944-6052 dpdms2318@seoultp.or.kr
중소기업융합중앙회 김우정 주임 042-331-0573 philia@k-sca.or.kr
경기 경기테크노파크(남부) 이도훈 주임 031-500-3076 dhl@gtp.or.kr
경기대진테크노파크(북부) 이아름 연구원 031-539-5044 arulee@gdtp.or.kr
중소기업융합중앙회 백유현 대리 031-888-5524 paiku@daum.net
인천 인천테크노파크 유동식 과장 032-260-0613 dsyoo@itp.or.kr
강원 강원테크노파크 길정훈 차장 033-248-5616 sider26@gwtp.or.kr
대전 대전테크노파크 서완교 책임 042-930-4882 mark2151@djtp.or.kr
세종 세종테크노파크 김수영 연구원 044-850-2147 ksy88@sjtp.or.kr
충남 충남테크노파크 이정현 과장 041-589-0634 fangse@ctp.or.kr
충북 충북테크노파크 김경수 책임 043-270-2211 kskim@cbtp.or.kr
대구 대구테크노파크 손대수 책임 053-757-4141 dsson@ttp.org
경북 경북테크노파크 박시찬 주임 053-819-3064 psc34@gbtp.or.kr
부산 부산테크노파크 강동기 연구원 051-320-3681 sense742@btp.or.kr
울산 울산테크노파크 최선아 연구원 052-219-8623 csa1407@utp.or.kr
경남 경남테크노파크 허태영 선임 055-259-3373 yeshty@gntp.or.kr
광주 광주테크노파크 박래열 책임 062-602-7221 daviz@gjtp.or.kr
전남 전남테크노파크 장미정 선임 061-729-2541 jarose91@jntp.or.kr
전북 전북테크노파크 김재희 선임 063-219-2146 jhjh1205@jbtp.or.kr
제주 제주테크노파크 조정민 연구원 064-720-3031 jungmin@jejutp.or.kr
 
* 중소기업 융합중앙회는 서울 및 경기지역 지식산업센터만 선정·구축 지원
 
□ 확장형 신청 : 전담기관(창업진흥원)
전담기관명 담당자 직함 연락처 이메일
창업진흥원 조요한 대리 042-720-4548 yhjo@kised.or.kr
 
 

[자료제공 :icon_logo.gif(www.korea.kr)]

0 Comments

토이웍스 KC정품 유유자적오리 애착인형 100cm
칠성상회
방우 시가 소켓 12V - 24V 겸용 카라반 캠핑카 DIY
칠성상회
라인플러스 화인 세필 화이트 보드마카 (12개입) 1다스 (검정색)
칠성상회
펜더 판다 예쁜 캐릭터 팬더 볼펜
칠성상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