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 Ad

[질병관리청]11월 14일부터 BA.4/5 기반 2가백신 접종 시작 (11.10.목)

btn_textview.gif



11월 14일부터 BA.4/5 기반 2가백신 접종 시작




- 주요 내용 -


□ 11월 14일부터 오미크론 변이 BA.4/5 기반 화이자 2가백신 18세 이상 대상 접종 개시


 ○ 화이자 BA.4/5 기반 2가백신 접종 시작으로, 선택 가능한 2가백신은 3종으로 확대


 ○ 사전예약이나 당일접종 예약 없이도 의료기관에서 접종 가능

□ 요양병원·시설 등 감염취약시설은 반드시 접종 필요


 ○ 최근 4주간 요양병원·시설 등 감염취약시설에서 사망자의 25.7% 발생


 ○ 반면, 감염취약시설 동절기 백신 접종률은 7.9%로 4차접종(27.1%) 대비 크게 낮은 수준으로 적극적인 접종 노력 필요





 1. 오미크론 변이 BA.4/5 기반 2가백신 접종 시작




□ 코로나19 예방접종 대응 추진단(단장 백경란 청장, 이하 ‘추진단’)은 11월 14일(월)부터 오미크론 변이 BA.4/5 기반의 화이자 2가백신 접종이 시작된다고 밝혔다.  



 ○ 이에 따라 동절기 코로나19 접종에는 현재 전세계적으로 활용가능한 오미크론 변이 대응 2가백신 3종*이 모두 활용되며, 18세 이상 국민 중 기초접종을 완료한 사람은 누구나 원하는 백신으로 접종이 가능하다. 권장 접종간격(마지막 접종 또는 감염 이후 120일 경과)을 고려했을 때, 7월 이전에 접종 또는 감염된 분들은 모두 접종대상에 포함된다.  

    * 모더나 BA.1 기반, 화이자 BA.1 기반, 화이자 BA.4/5 기반   



 ○ 또한, 추진단은 국민들의 접종편의 제고를 위해, 홈페이지를 통한 사전예약이나 민간 SNS(네이버, 카카오)를 이용한 당일접종 예약 없이도, 의료기관에 접종을 희망하는 백신이 있는 경우 접종이 가능하다고 밝히며 안전하고 건강한 겨울나기를 위해 접종에 참여해줄 것을 당부했다. 




□ 동절기 코로나19 추가접종에 관한 세부사항은 아래와 같다. 


< 동절기 코로나19 추가접종 개요 >


-  (대상) 18세 이상 성인 중 기초접종(2차접종) 이상 완료자 (3·4차 접종자 포함) 

   * 감염취약시설(요양병원, 요양시설, 정신건강증신시설 등) 입원·입소·종사자, 60세 이상 고령층,기저질환 보유자 및 기저질환 보유율이 높은 50대 연령층, 보건의료인 등은 접종 권고   


 (백신) 2가백신 3종(BA.1 기반 모더나·화이자, BA.4/5 기반 화이자) 권고 

   * 원하는 경우 유전자재조합 백신(노바백스, 스카이코비원)도 접종 가능  


 (간격) 최종 접종일/확진일 기준 4개월(120일) 이후 접종 권고


 (방법) 사전예약 : 누리집(대리예약 가능), 1339 콜센터, 주민센터 방문 등당일접종 : 의료기관 예비명단, 민간 SNS(네이버, 카카오) 잔여백신 예약현장접종 : 사전예약 없이 의료기관의 백신보유 여부 확인 후 접종   




□ 참고로 11월 10일 현재 국내에 도입된 오미크론 변이 대응 2가백신은 총 2,164만 회분이다. 제조사별로는 화이자 1,314만 회분(BA.1 기반 891만 회분, BA.4/5 기반 423만 회분), 모더나 850만 회분(BA.1 기반)이다. 





 2. 요양병원·시설 등 감염취약시설은 반드시 접종 필요  



□ 추진단은 유행양상이 동절기 재유행에 진입하게 됨에 따라, 코로나19에 가장 취약한 요양병원·시설 등 감염취약시설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입원·입소자는 물론이고 종사자까지 반드시 접종에 참여해줄 것을 거듭 당부했다. 



□ 지난 한 주간(10.30일~11.5일) 코로나19 사망자의 사망장소 분석 결과, 요양병원과 시설에서 전체 사망의 25.7%가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최근 4주 합계에서도 동일한 결과로, 유행상황에 관계없이 요양병원과 시설에서 코로나19로 인한 사망이 많다는 점을 시사한다. 


<사망장소별 현황(명, %)>


구분

10월 2

10월 3

10월 4

11월 1

4주 합계

162

(100.0)

166

(100.0)

156

(100.0)

225

(100.0)

709

(100.0)

의료기관

113

(69.8)

122

(73.5)

110

(70.5)

161

(71.6)

506

(71.4)

전담요양병원

15

(9.3)

7

(4.2)

15

(9.6)

18

(8.0)

55

(7.8)

요양병원

24

(14.8)

30

(18.1)

20

(12.8)

30

(13.3)

104

(14.7)

요양원

4

(2.5)

3

(1.8)

6

(3.8)

10

(4.4)

23

(3.2)

기타

(자택이송중)

6

(3.7)

4

(2.4)

5

(3.2)

6

(2.7)

21

(3.0)





□ 반면, 감염취약시설의 접종률은 같은 기간 4차접종과 비교할 때 19%p 이상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 요양병원·시설 및 정신건강증신시설 등 감염취약시설에 대한 동절기 추가접종은 10.11일부터 시작했으며, 현재까지 대상자 대비 7.9%의 접종률을 기록하고 있다. 반면 같은 기간(접종 개시부터 30일 경과) 감염취약시설의 4차접종은 27.1%로 19.2%p의 큰 차이를 보였다. 


<동절기 접종과 4차접종 접종률 비교 (명, %)> 


구분

동절기 접종 (A)

4차접종 (B)

차이 (B-A)

접종자 수()

접종률(%)

접종자 수()

접종률(%)

접종자 수()

접종률(%p)

감염취약시설

54,386

7.9

98,636

27.1

44,250

19.2




□ 오미크론 변이 대응 2가백신은 현재 유행하는 변이에 대응하여 개발된 만큼, 중증사망 예방효과는 물론이고 감염 예방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따라서 접종률 제고를 통해 동절기 재유행 규모를 억제하고, 중증·사망 위험을 낮출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 추진단은 동절기 재유행에 대비하여 반드시 접종이 필요한 감염취약시설의 접종률 제고를 위해 관계부처, 지자체 및 유관기관과 협력하여 총력을 다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 먼저, 17개 시도별로 감염취약시설에 대한 접종계획 수립 및 진행상황을 정기적으로 점검하고, 접종률이 높은 지자체의 우수사례를 공유하는 한편, 애로사항을 신속하게 해소하여 접종률을 높일 방침이다.    


 ○ 또한 상주 의사나 시설계약 의사가 없는 감염취약시설의 접종을 지원하기 위해 보건소 방문접종팀 운영에 필요한 인건비를 적극 지원한다. 


 ○ 더불어 대한노인회, 지역의사회 등과 협력하여 접종 필요성을 적극적으로 알리고 독려해나갈 계획이다.  




□ 백경란 청장은, “오미크론의 하위변이들이 새롭게 발생하고 있으며, 환자 발생이 증가세에 있는 상황에서, 겨울철 코로나19 재유행 등에 대비하기 위해서는 동절기 추가접종이 매우 중요하다.”고 강조하며, 



 ○ “특히 감염취약시설은 4차접종을 올해 2월에 시작했기 때문에 접종 후 시간경과에 따라 접종효과가 크게 감소하였을 것으로 판단되며, BQ.1.1, BF.7 등 신규변이 확산 및 면역회피로 인해 유행 확산 및 중증·사망이 증가할 수 있는 만큼 입원·입소자 뿐만 아니라 종사자 분들까지 반드시 접종에 참여해주실 것을 당부”했다.   







 3. 이상사례 신고현황 주간 분석 결과(88주차) 



□ 추진단은 10월 11일부터 접종이 시작된 모더나(BA.1) 접종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능동감시 결과 및 코로나19 예방접종 시작 이후 현재까지 신고된 이상사례에 대한 주간(88주차, 11.6. 0시 기준) 분석 결과를 발표했다.


    * 이상사례 통계는 ‘만 나이’ 기준 예방접종 건수를 기반으로 산출 


 ○ 모더나(BA.1) 접종자 대상 능동감시 결과 주로 보고된 증상은 주사부위 통증, 근육통, 발열 등으로 식약처 허가사항과 유사하였으며, 모더나(BA.1) 백신접종 이후 이상사례 신고율은 0.03%로 기존 백신 대비 낮게 나타났다.


 ○ (능동감시) 모더나(BA.1) 백신접종 안전성 관련 특이사례 발생 여부를 조기에 인지하고, 안전성 문제에 적극 대응하고자 모더나(BA.1) 백신 초기 접종자 10,009명을 대상*으로 능동감시를 시행하였다(‘22.10.11.~10.20.).


    * 모더나(BA.1) 접종자 중 능동감시 참여에 동의한 자를 대상으로 접종 후 0∼7일 동안 URL을 전송하여 특이사항 발생 여부 등을 설문조사

   - 감시 기간 중 1회 이상 “건강 문제가 있다”고 응답한 인원은 2,853명으로, 주로 나타난 증상은 주사부위 통증, 근육통, 피로감, 발열·열감 순*이었다.


     * 주사부위 통증(2,191명) > 근육통(1,358명) > 피로감(1,324명) > 발열·열감(1,002명) > 두통(848명) > 오한(560명) > 겨드랑이 통증(449명) > 어지러움(423명) 


   - 기간별 건강 문제가 발생한 것으로 보고된 건수는 접종 후 1일, 2일 차에 가장 많았으며, 3일 차부터 보고가 감소하여 7일 차에 보고된 건수가 가장 적었다.


     * 1일차(1,916명) > 2일차(909명) > 0일차(738명) > 3일차(533명) > 4일차(365명) > 5일차(308명) > 6일차(259명) > 7일차(184명)


 ○ (신고현황) 전체 예방접종 130,155,525건 중 이상사례는 479,712건(0.37%)이 신고되었고, 일반 사례는 460,432건(96.0%), 중대한 사례는 19,280건(4.0%)이었다. 


    * 일반 이상사례는 주사부위의 통증, 발적 등 국소이상반응과 발열, 근육통 등 전신이상반응 중대한 이상사례는 특별관심 이상사례 등 주요 이상사례(경증 포함), 사망 사례

     ※ 87주~88주 동안 신고된 이상사례는 564건


   - 백신별 이상사례는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110,320건(0.54%), 화이자 백신 245,876건(0.30%), 모더나 백신 113,038건(0.45%), 얀센 백신 8,883(0.59%), 노바백스 백신 1,195건(0.14%), 스카이코비원 백신 1건(0.03%), 모더나 (BA.1) 백신 399건(0.03%)이었다.


   - 5~18세 소아·청소년 예방접종 6,763,452건 중 이상사례는 21,353건(0.32%)이 신고되었고, 신고사례 중 일반 이상사례는 20,726건(97.1%), 중대한 이상사례는 627건(2.9%)이었다.

     ※ 자세한 내용은 https://ncv.kdca.go.kr 〉 이상반응 〉 이상반응 발생동향 〉국내 이상반응 발생동향 〉 코로나19 예방접종 안전성 보고서(88주차)를 참고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추진단은 안전한 예방접종을 위해 코로나19 백신접종 이후 발생할 있는 이상사례에 대한 주의를 당부하였다.


 ○ 접종받는 사람은 예방접종 이후 15~30분간 접종기관에 머물러 이상사례 발생 여부를 관찰하고, 귀가 후에도 적어도 3시간 이상 주의 깊게 관찰해야 하며, 접종 이후 최소 3일간은 특별한 관심을 가지고 관찰하고, 고열이 있거나 평소와 다른 신체 증상이 나타나면 의사 진료를 받도록 해야 한다.


   - 특히, 중증 알레르기 반응(아나필락시스)이 나타나면 즉시 119로 연락하거나 가까운 응급실로 내원해야 한다.


 ○ 화이자, 모더나 백신 접종 이후 다음과 같은 심근염/심낭염 의심증상이 나타나면 신속히 의료기관 진료를 받도록 당부했다.


【심근염 및 심낭염 의심증상】


◈ 예방접종 이후 아래와 같은 증상이 새롭게 발생하거나 악화되어 지속되는 경우

① 가슴 통증, 압박감, 불편감       

② 호흡곤란 또는 숨가쁨, 호흡시 통증

③ 심장이 빠르게 뛰거나 두근거림

④ 실신 



 ○ 특히, 예방접종 이후 이상사례 환자를 진료한 의료기관은 심근염, 심낭염 등 신속한 진단·치료 및 예방접종 이후 이상사례 신고를 철저히 해줄 것을 당부하였다.


□ 아울러, 이상사례 신고만으로 피해보상 절차가 진행되지는 않으므로, 피해보상을 신청하고자 하는 경우는 의사 등이 이상사례를 신고한 이후 접종받은 자(또는 보호자)가 필요서류를 구비하여 관할 보건소로 신청하여야 함을 강조하였다.


 ○ 현재, 코로나19 예방접종 피해보상 신청 절차* 및 필요서류** 목록은 코로나19 예방접종 누리집에 게재하였으며, 질병관리청 콜센터(국번없이 1339)를 통해서도 관련 내용을 안내받을 수 있다.


    * 코로나19 예방접종 누리집(ncv.kdca.go.kr)의 [이상반응]-[코로나19 예방접종피해 보상신청]

   ** 코로나19 예방접종 누리집(ncv.kdca.go.kr)의 [알림·서식]-[서식]의 신청양식 참조


[ 코로나19 예방접종 이후 국가 피해보상 절차 ]

이상사례 신고

보상신청

신청접수 및

기초조사

피해보상 심의

의료기관·보호(또는 접종받은 자)의 신고

보호(또는 접종받은 자) 보건소에 직접 신청

···

예방접종피해보상

전문위원회 심의

(본인부담금 30만원 이상)

·도 자체 심의

(본인부담금 30만원 미만)



이 보도자료는 관련 발생 상황에 대한 정보를 신속 투명하게 공개하기 위한 것으로, 추가적인 역학조사 결과 등에 따라 수정 및 보완*될 수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 확진자 급증에 따라 당일 일부 중복 및 오신고 건들이 있어 익일 확인시 정정하고 있습니다. 확진자 신고 및 집계 업무 부담 증가로 오신고 등의 구체적 내역 제공이 어려운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코로나19 일일 확진자 통계*(국내/해외발생/사망/성별/연령별/시도별 구분) 원시자료를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리집에서 내려 받으실 수 있으며, 누적 시군구 확진자 현황**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매일 18시 이전 업데이트).

*(일일 확진자 통계)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누리집(ncov.mohw.go.kr) 메인화면 좌측 ‘(누적)확진
다운로드(화살표선택) 엑셀파일 시트별 확인가능

**(누적 시군구 확진자 현황) 발생동향 시도별 발생동향 시도 선택 (우측 하단) 코로나19 누적 시군구 확진자 현황



<붙임>  1. 코로나19 예방접종 통계 현황(11. 3.~11. 9.)

          2. 인플루엔자 예방접종 통계 현황(11. 10.(목) 0시 기준)

          3. 동절기 코로나19 추가접종 포스터(전국민 대상 확대)

          4. 동절기 코로나19 추가접종 안내문(접종기관용)

          5. 감염병 보도준칙



[자료제공 :icon_logo.gif(www.korea.kr)]

0 Comments

월드 중장비-지게차 자동차 미니카 건설차
칠성상회
아이디얼 양장노트 25절 라인노트 줄공책
칠성상회
바르네 풀테이프 BGT-0180(8.4mmX12m) 본품 랜덤
칠성상회
아모스 글라스데코 썬데코 별자리 어린이 미술놀이
칠성상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