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 Ad

[질병관리청]「2O22 글로벌보건안보구상(GHSA) 장관급 회의」서울 개최

btn_textview.gif

2O22 글로벌보건안보구상(GHSA) 장관급 회의서울 개최

- 70여개 국가 및 주요 보건 국제기구 관계자 대거 서울에 모여 -

- 감염병 등 글로벌 보건 안보 위협에 대비·대응 위한 행동 촉구 -


□ 정부는 오는 11월 28일부터 11월 30일까지 3일간 그랜드 하얏트 서울에서 70여개 국가의 보건장관 및 국제기구가 참석하는「글로벌보건안보구상(GHSA, Global Health Security Agenda, 이하 GHSA) 장관급 회의」를 개최한다.


< 제7차 GHSA 장관급 회의 및 행사 개요 >


(일시·장소) ‘22. 11. 28() ~ 11. 30() 그랜드 하얏트 서울

(주제) 미래 감염병 대비, 함께 지키는 보건안보

(목적) 감염병 등 글로벌 보건안보 위협에 대비·대응 역량 강화를 위한 GHSA 역할 강조 및 국가들의 행동계획 활동 참여 촉구

(참석자) GHSA 참여국 장관 및 정부 관계자, 국제기구, 주한 대사, 전문가 등 200여명

(주요 내용) 선도그룹 및 장관 회의, 전문가 포럼, 모의훈련, 서울선언문 발표 등


□ 글로벌보건안보구상(GHSA)은 사스, 메르스, 코로나19 같은 신종감염병, 생물테러 등으로 인한 국가 보건 안보 위협이 대두됨에 따라, 2014년 출범하여 글로벌 보건위기로부터 안전한 세계를 만들기 위해 국가 정부, 국제 기구 등이 참여하여 만든 국제 협의체로,


 ○ 출범 당시 약 30여개 국가와 보건 관련 국제기구가 참여하였고, 현재는 71개 회원국과 10개 국제기구, NGO 및 학계로 확대하여, 감염병 대비·대응 역량 강화를 위한 행동계획* 마련 및 이행을 위해 각 국가의 합동 외부평가 수행, 신종감염병 대비·대응 척도 마련 등의 노력을 기울여 왔다. 

   * 항생제내성, 인수공통감염병, 생물안전, 예방접종, 실시간 감시, 실험시스템, 인력역량, 법제, 재정 확보 


 ○ 특히, 한국은 GHSA의 주요회원국으로, 2015년 GHSA 장관급회의(서울 개최) 계기 보건안보에 관한 국제사회의 최초 약속인 서울 선언문 채택, 2017년 선도그룹 의장국, 예방접종행동계획 주도국 등으로 활동하였다.


□ 이번 서울에서 개최하는 2022 글로벌보건안보구상(GHSA) 장관급 회의는 GHSA 출범 이후 7번째*로 개최되는 장관급 회의로써, ‘미래 감염병 대비, 함께 지키는 보건안보’ 라는 주제로 진행된다.

 * (장관급 회의 개최 현황) ’14년(미국), ’15년(대한민국), ’16년(네덜란드), ’17년(우간다), ’18년(인도네시아), ’20년(태국, 화상회의)


 ○ 이번 회의 개최는 보건복지부, 외교부와 함께 질병관리청 GHSA 실무준비 테스크포스팀을 구성하여 함께 협업하고 있다. 


 ○ 이번 회의를 통해 그간 코로나19 대응 과정의 평가와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미래 감염병 대비를 위한 GHSA의 향후 비전과 역할을 강조한다. 


  - 아울러, 감염병 등 글로벌 보건 안보 위협에 대비· 대응을 위한 참여국들의 행동 촉구 및 행동계획 활동에 적극적인 참여를 독려할 예정이다. 


 ○ 또한, 행사 마지막 날(11.30) 장관 회의 시, GHSA의 목표와 비전을 재강조하고 ’24~‘28년까지의 GHSA 활동 및 회원국의 적극적인 참여 의지를 표명하는 新서울선언문을 발표할 예정이다.


□ 아울러, 3일간의 회의 기간 동안 장관급 회의 외에도 전문가 포럼, 신종감염병대비 모의훈련, 현장 방문 등 다양한 프로그램이 진행될 예정이다. 


 ○ 전문가 포럼은 코로나19 대응 과정의 분야별 사례와 역량 강화를 위한 다양한 주제로 각국 정부 관계자 뿐 아니라 국제기구를 초청하는 등 총 9개 세션의 포럼이 개최될 예정이다.


< 전문가 포럼 주요 내용 및 일정(안) >


구분

포럼 내용

주관

일정

1

코로나19 이후 보건안보를 위한 국가예방접종 역량강화

질병관리청

11.28.

2

보다 강력한 법적 대비 유지를 위한 법제 설정

조지타운대학교

3

코로나19 시대 보건안보를 위한 국내 자원 동원 방안

미국 재무부

4

GHSA 행동계획과 원헬스의 접목

영국 보건안보청

5

코로나19 대비 대응을 위한 한국-세계은행 협력체계

세계은행(한국)

6

미래 위기 대비 국제적 프레임워크 이행 지원 방안

미국 핵위협협의체

7

미래 공중보건 위기 대응(국가 이행을 위한 촉진)

WHO

11.29.

8

국제보건규칙 모니터링 및 평가 프레임워크 활동 평가

미국 CDC

9

팬데믹 예방, 대비, 대응을 위한 금융중개기금과 GHSA 2024

미국 재무부


 ○ 또한, 신종감염병대비 모의훈련은 가상의 신종감염병(Disease-X) 발생 시나리오를 토대로 각국이 도상 훈련을 통해 신종감염병에 대한 사례연구, 대응 방안 토의 등을 거쳐 국제적 연대 관점에서 대응 방안을 모색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 백경란 질병관리청장은 “전 세계가 2년 반 넘게 코로나19 라는 긴 터널을 지나가고 있는 지금 시점에, 감염병으로 인한 보건 위협으로부터 더 안전한 세계를 만드는데 국제사회가 함께 대비·대응이 필요성을 절감하였다”며, 


 ○ “현재 감염병 등 보건 안보에 대한 높아진 관심에 따라 금번 행사에서 일반인이 참여할 수 있는 전문가 포럼도 의미있게 마련된 만큼 많은 분들의 행사 참여가 기대된다”고 밝혔다.


 ○ 한편, “사람들이 다수가 모이는 국제적 행사인 만큼 관계기관과 협조하여 방역과 안전에도 차질이 없도록 행사를 철저히 준비해 나가겠다”고 다짐하였다. 


□ 현재 각국 보건부장관 및 관계기관의 참석자가 등록 중이며, 최종 확정 후 세부 행사계획에 대해 다시 한번 자세히 안내할 예정이다. 


 ○ 전문가 포럼 등에 많은 분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부탁드리며, 등록 사이트(ghsa2022.com)으로 사전 등록하여 많은 의견 개진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붙임>  글로벌보건안보구상(GHSA) 개요 및 행사 일정(안) 


[자료제공 :icon_logo.gif(www.korea.kr)]

0 Comments

월드 중장비-지게차 자동차 미니카 건설차
칠성상회
아이디얼 양장노트 25절 라인노트 줄공책
칠성상회
바르네 풀테이프 BGT-0180(8.4mmX12m) 본품 랜덤
칠성상회
아모스 글라스데코 썬데코 별자리 어린이 미술놀이
칠성상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