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 Ad

[질병관리청]질병관리청장, 국제 항생제내성관리 컨퍼런스 참석 및 영국 보건안보청과 협력과제 논의(5.20.월)

btn_textview.gif


질병관리청장, 국제 항생제내성관리 컨퍼런스 참석 및 영국 보건안보청과 협력과제 논의 


- 지영미 청장, 영국에서 개최된 국제 항생제내성 컨퍼런스 참석. 올 9월 UN 총회를 앞두고 전세계 리더들과 항생제내성관리관리방안 논의 

- 영국 보건안보청 콜린데일 사무소 방문, 한국의 코로나19 대응과정과 신종감염병 대유행 대비 중장기계획 강연, 추후 협력과제 논의



  질병관리청(청장 지영미)은 5월 16일(목),  17일(금) 양일간 영국 런던을 방문하여 국제 항생제내성관리 컨퍼런스(The World Together Solving the Antibiotic Emergency)에 참석하고, 영국 보건안보청(UKHSA)을 방문하여 협력과제를 논의하였다고 밝혔다. 


  이번 청장의 영국 방문은 2020년 9월 질병관리청 개청 이후 첫 방문으로, 국제 항생제내성관리 컨퍼런스를 통해 오는 9월 UN 총회에 대비하여 전세계 보건리더들과 항생제내성관리 방안을 논의하고, 지난 2022년 5월 질병관리청-영국 보건안보청 간 양해각서 체결 및 2024년 3월 제니 해리스 청장의 방한 이후 항생제내성, 신종감염병 등 한-영 후속 협력 방안을 논의하기 위한 것이다.



[국제 항생제내성관리 컨퍼런스 ]


  5월 16일(목) 런던에서 개최된 국제 항생제내성관리 컨퍼런스는 ‘항생제 위기 해결을 위한 전세계의 동참’(The World Together Solving the Antibiotic Emergency)을 주제로 영국 보건복지사회부(DHSC) 및 왕립학회(Royal Society)가 공동 주관하였으며, 이는 오는 9월 항생제내성관리를 의제로 하는 유엔 총회 고위급회담에 앞서 항생제내성관리에 대한 의식을 고취하고 다양한 이해관계자들과 함께 항생제내성 감소 방안을 다각적으로 논의할 목적으로 마련되었다. 


  본 컨퍼런스에는 영국, 프랑스, 일본, 이탈리아, 사우디아라비아 등 전세계 20개국 이상의 보건 분야 리더가 참석하였으며, 정부는 물론 환자, 제약회사, 기자 및 언론, 의료진 등의 다양한 이해관계자가 참여하여 항생제내성에 대한 연설과 강연, 롤플레이 및 공연 등을 이어갔다. 


  영국의 항생제 특사 데임 샐리 데이비스(Dame Sally Davies)는 행사 시작에 앞서 ‘전세계적 항생제 내성관리를 위해 임상의사, 의과대학생, 경제학자, 정책 결정권자 모두의 지속적인 관심이 필요하다’고 강조하였으며, 웨일스 공 윌리엄(William, Prince of Wales)은 항생제내성 문제와 기후변화는 시스템의 변화를 통해 해결할 수 있는 문제인 만큼 통합적인 접근을 통한 해결을 역설하였다. 또한 영국 보건복지사회부 장관인 앤드류 스티븐슨(Andrew Stephenson)은 영국 정부가 85백만 파운드(한화 약 1500억원)를 중저소득 국가들의 항생제내성 문제 해결을 위한 기금으로 출연하기로 했다고 발표하였다. 


  이후 진행된 패널 토의에서는 정부기관, 국제기구, 시민단체, 의과대학생 등의 참가자를 통해 다양한 관점의 항생제내성관리 대책 논의가 이어졌다. 특히 영국, 방글라데시, 사우디 아라비아, 이탈리아 보건부 장관이 참여한 패널토의에서는 코로나19 유행기간 중 얻은 교훈을 국가 항생제관리대책 안에 반영할 것과, 인간뿐만 아니라 동물, 환경 분야를 포괄하는 원헬스적 접근을 강조하였다. 


  지영미 청장은 오후에 마련된 각국 정부 및 이해관계자 글로벌 다이얼로그 발언 시간을 통해 전 세계 항생제내성관리를 선도하는 영국 정부의 리더십에 감사를 표했고, 한국도 항생제 내성문제 관련 인식을 제고하고 해결에 적극 동참할 것임을 밝혔다. 또한 오는 5월말 세계보건총회에서 항생제내성 관리를 주제로 부대행사를 개최할 예정으로 다양한 관계자들과 함께 9월 유엔 총회 고위급 회의에서 항생제내성 감소를 위한 각국의 약속을 독려하였다. 



[영국보건안보청 콜린데일 사무소 방문]


  한편, 5월 17일(금)에는 영국 보건안보청(UKHSA) 콜린데일 사무소를 방문하여 한국의 ‘코로나19 대응 과정에서의 교훈과 신종감염병 대비대응 계획’을 영국측에 소개하고 데이터감시체계 및 질병 모델링 등에서의 협력 방안을 논의하였다.


  이번 영국 보건안보청 방문은 지난 2022년 5월 질병관리청-영국 보건안보청 간 양해각서 체결 및 2024년 3월 영국 보건안보청장의 방한 시 고위급 정책 대화를 잇는 후속 회의의 성격으로, 감염병 및 항생제내성 분야 등 국제 보건 분야의 주요 의제에 대한 양국간 협력 방안을 보다 구체적으로 확인하였다. 


  영국 보건안보청의 요청에 따라 진행된 지영미 청장의 ‘한국의 신종 감염병 대비·대응 계획’ 강연에서는 한국의 코로나19 대응 경험을 공유하고 한국의 신종감염병 대비대응 계획을 소개하였다. 본 강연은 현장 강연과 함께 온라인으로 영국 보건안보청 내 실시간 송출되었으며, 강연 이후에는 영국 보건안보청 이사벨 올리버 수석과학관 및 스캇 맥퍼슨 기조실장 등의 현장 패널 토의와 온·오프라인 참석자를 통한 질의응답이 이어졌다. 


  영국 보건안보청은 지난 코로나19 대응에서 보여준 한국의 신속한 진단제 보급, 데이터 활용 기술의 발전, 근거 기반의 정책 추진 등을 우수 사례로 언급하였고, 이사벨 올리버 수석과학관은 마무리 발언을 통해 ’한국은 코로나19 대응에서 과학적 진보는 물론 학계, 산업계, 국민과의 적극적인 소통과 협력을 통해 감염병 위기를 극복한 좋은 본보기’라고 언급하며 앞으로도 질병관리청과 적극적으로 협력해갈 것임을 밝혔다. 


  이어진 주제별 토의에서는 과학적 근거 중심의 정책을 지원하기 위한 데이터 혁신 및 모델링 협력 방안 등을 논의하였다. 스티븐 라일리 데이터분석관은 데이터 혁신에서는 코로나19의 경험에서와 같이 정책 변화를 신속히 반영할 수 있도록 자료의 확장성을 확보하고, 여러 자료 및 기능을 통합적으로 관리·분석함으로써 정책 수요에 따른 과학적 근거를 생산하는 노력이 필요하며, 이런 의미에서 이번 질병관리청 조직 개편(5월 14일자)이 이러한 기조를 담고 있는 것으로 이해되며 각 분야별로 한국과 실무적인 논의를 지속할 것임을 확인하였다. 


  특히 영국 보건안보청은 항생제내성 관리, 이상기후의 적응과 기후변화 등 국제 공동의 대응과 협력이 중요한 분야에서 감시, 진단, 관리 등 여러 영역을 통합 모니터링하고, 모델링을 통해 과학적 근거를 생산하는 사례를 소개하였다. 


  지영미 청장은 “항생제내성 관리와 신종 감염병은 국제 공동 대응과 협력이 무엇보다 중요한 분야”라고 언급하면서, “보건위협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상호 우수사례를 공유하고, 글로벌 보건 안보를 지키기 위해 양국간 협력을 지속해나가기를 희망한다”고 밝혔다. 


<붙임>  현장 사진


[자료제공 :icon_logo.gif(www.korea.kr)]

0 Comments

반짝반짝 보석스티커(1000원X20개)
칠성상회
월드 중장비-지게차 자동차 미니카 건설차
칠성상회
아이디얼 양장노트 25절 라인노트 줄공책
칠성상회
바르네 풀테이프 BGT-0180(8.4mmX12m) 본품 랜덤
칠성상회